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한진희 교수 연구팀이 뇌에서 기억을 만드는 신경세포(뉴런)가 선택되는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우리 뇌에서 기억이 일어나는 과정은 과거의 경험이 '입력'돼 '공고화'를 거쳐 '회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기억은 뇌 전체에 걸쳐 극히 적은 수의 뉴런들에 입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뉴런들이 따로 정해져 있는지 혹은 특정한 원리에 의해 선택되는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두 뉴런 사이의 시냅스(신경세포 간 연결부위) 연결을 강화하는 '장기 강화'가 뉴런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장기 강화는 기억의 핵심 기제로 여겨진다.
연구팀은 생쥐 뇌 편도체 부위에서 자연적인 상황에서는 장기 강화가 발생하지 않는 시냅스를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자극, 인위적으로 시냅스 연결을 강하게 조작했다.
이어 생쥐가 공포스러운 경험을 하기 전 이 시냅스를 자극해 장기 강화가 일어나게 하자, 공포 학습 후 원래는 기억과는 연관이 없었던 이 시냅스에 기억이 입력되는 것을 확인했다.
시냅스 강도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면 기억 자체는 변하지 않지만, 그 기억이 입력되는 뉴런이 바뀌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기억 형성 원리를 밝힘으로써 치매나 조현병 등 기억 이상 관련 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지난달 24일 자에 실렸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1-07-1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