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뇌공학과 정기훈 교수 연구팀이 고해상도의 4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초박형 라이트필드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라이트필드 카메라는 곤충의 시각 구조를 본떠 미세렌즈와 대물렌즈를 결합해 만든 카메라이다.
한 번 촬영으로 빛의 공간과 방향 등 4차원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미세렌즈 배열로 인해 빛이 겹쳐 일어나는 광학 크로스토크(영상 겹침) 현상 때문에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나노미터(㎚·10억분의 1m) 두께의 광 흡수 구조를 미세렌즈 배열 사이에 삽입, 해상도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200㎚ 두께의 금속-유전체-금속 박막으로 이뤄진 광 흡수층을 렌즈 사이에 배치, 입사하는 빛을 완전히 흡수해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또 대물렌즈와 미세렌즈 사이의 거리를 2.1㎜ 수준으로 줄여 전체 5.1㎜ 두께의 얇은 라이트필드 카메라를 개발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라이트필드 카메라 중 가장 얇은 수준이다.
정기훈 교수는 “매우 얇으면서도 해상도가 높은 라이트필드 카메라를 제작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며 “의료용 내시경과 가상현실·증강현실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즈'(Advanced Optical Materials) 지난달 20일 자에 실렸다.
(28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 인공태양 케이스타(KSTAR)를 활용한 실험에서 핵융합 난제인 '플라스마 자기섬' 발생을 해결할 실마리가 발견됐다.
다산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이 유배지 흑산도에서 저술한 어류학서 '자산어보'와 허준의 의서 '동의보감', 전남 신안 압해도에서 발견된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등 7건이 국가과학유산으로 등록됐다.
광주, 전남, 전북이 신재생 에너지를 중심으로 초광역권 에너지 경제 공동체를 구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유망 기업의 성장을 돕는 '2021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ICT GROWTH)'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정상적인 타우(tau) 단백질은 뇌에 전혀 해롭지 않다.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탄소 산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국가기관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으로 3월 새롭게 출범한다.
정부가 내년까지 백신접종, 진료 기록을 비롯한 건강 관련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