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ST 발사부터 현재까지][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7월 12일, Webb의 첫 번째 이미지와 스펙트럼 공개
미국 동부 표준시로 7월 6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 James Webb Space Telescope) 팀은 5월 초 정밀 가이드 센서(FGS: Fine Guidance Sensor, FGS 기기는 NIRISS와 함께 장착되어 있으며 별, 외계행성, 은하, 심지어는 우리 태양계 내에서 움직이는 표적에 이용)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처음 공개했다.
위 이미지는 총 32시간의 노출시간을 이용하여 8일 동안 여러 장을 촬영하여 만든 이미지이며, NIRCam기기와 함께 촬영했다. 놀라운 점은 정밀 가이드 센서가 공식 과학 관측 장비가 아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우주에서 별을 잘 볼 수 있게 도와주는 장비라는 점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티저 사진을 공개하다. © JWST/NASA/ESA
공개된 이미지는 그간 가장 성공적인 망원경이라고 평가받는 허블 우주망원경이 보여준 우주보다 훨씬 더 깊고 자세한 우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적외선 우주 중 가장 선명한 사진을 보여준 JWST는 예측대로 매우 희미한 우주 천체들을 포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참고로 오른쪽 가장자리에 있는 밝은 별의 밝기 등급 9.3이다. 공개된 이미지에서는 수천 개의 희미한 은하를 볼 수 있으며 회절 스파이크를 보이는 소수의 별도 포함되어 있다.
2022년 3월 망원경 정렬 후 촬영된 이미지, 역시 JWST의 시그니처와도 같은 6개의 회절 스파이크를 볼 수 있다. © JWST/NASA/ESA
별들은 모두 6개의 회절 스파이크(diffraction spike)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JWST 이미지만의 상징적인 로고와도 같다. 이는 JWST의 주경과 조리개의 생김새 때문에 생기는 JWST만의 시그니처이기 때문이다.
주경과 조리개의 생김새에 따라서 달라지는 관측 이미지 비교 © R. B. Makidon, S. Casertano, C. Cox & R. van der Marel, STScI/NASA/AURA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밝은 별의 중심이 검게 표시되어 있다는 점이다. NASA가 여러 SNS에 위 사진을 공개했을 때 몇몇 사람들은 밝은 별 중심이 검게 표시된 점을 보고 블랙홀이냐는 질문을 던졌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는 블랙홀이 아니다. 검은 점은 JWST의 포화된 탐지기(detector) 때문에 표시되는데, 이는 망원경의 포인팅 위치가 노출 시간 동안 탐지기 내의 픽셀 중심 확인 때문에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이처럼 위 이미지의 목적은 가이더가 하나의 별에 고정되며 JWST의 전반적인 가이더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함이었다.
메릴랜드주 그린벨트에 있는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웹 운영 과학자 제인 릭비 박사(Dr. Jane Rigby)는 위 이미지를 두고 JWST 데이터를 분석할 과학자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데에 성공했음은 물론이며, 가이더 테스트 역시 매우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릭비 박사는 본 이미지에서의 희미한 얼룩들은 JWST 데이터 과학자들이 앞으로 연구하게 될 희미한 은하라고 밝히며 앞으로의 관측에 대한 큰 기대를 보였다.
하니웰 항공우주(Honeywell Aerospace) 소속 정밀 가이드 센서 프로그램 과학자 네일 롤랜즈(Neil Rowlands)는 제임스 웹 망원경이 예상보다 훨씬 좋은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에, 시운전 초기에 여러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유도 센서를 의도적으로 약간 흐리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위 이미지의 촬영 때 희미한 은하의 모든 세부 구조들을 명확하게 볼 수 있어서 매우 기뻤다고 밝힌 그는 깊은 광대역 가이더로도 이러한 촬영이 가능하다는 점은 큰 의의가 있다고 기대를 보였다. 필요한 경우 앞으로 다른 관찰과 병행이 가능하며 이러한 관측 기술은 앞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이미지에 사용된 정밀 가이드 센서는 JWST의 임무 기간 동안 모든 단일 관측에 이용되는 유일한 장비이다. 이미 JWST의 정렬 과정에 큰 도움을 준 정밀 가이드 센서는 6월에 이루어진 최초의 실제 과학 관측부터 본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위 티저 이미지는 과학적인 결과를 염두에 두고 촬영한 것이 아니기에 7월 12일 공개될 전체 해상도 이미지와 상당히 다르다. 정밀 유도 센서는 시운전 전반에 걸쳐서 다른 이미지들에 적용된 것처럼 붉은색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여러 가지 색을 맞추기 위하여 제한된 색을 이용하여 음영이나 색을 조절하는 과정인 디더링(Dithering)이 포함되지 않는다.
미항공 우주국(NASA)는 Webb의 첫 번째 컬러 이미지와 스펙트럼을 7월 12일 공개 할 예정이다.
7월 7일 현재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팀은 JWST 우주 망원경의 열 안정성 테스트(관련 기사 바로 가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4가지 과학 장비의 시운전(commissioning) 역시 성공적으로 수행 중임을 알렸다. 시운전은 총 17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17가지의 시운전이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JWST는 오랜 기다림 끝에 공식적인 첫 관측을 시작하게 된다.
미국 동부 표준시로 7월 7일 현재, 17가지 기기 시운전 중 NIRCAM의 코로나그래피(coronagraphy) 시운전을 제외한 16가지 시운전이 모두 성공적으로 끝났으며 첫 관측을 위한 준비가 매우 순조롭게 진행 중임을 알 수 있다.
2022년 5월 20일까지 완료된 시운전은 없었지만 (관련기사 바로 가기), 7월 7일 현재 NIRCAM의 코로나그래피(coronagraphy) 시운전을 제외한 16가지 시운전이 모두 성공적으로 끝났음을 알 수 있다. © JWST/NASA/ESA
시운전이 거의 끝나감에 따라 JWST의 첫 번째 이미지와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첫 관측 이미지의 공개는 몇 일, 몇 분이나 남았을까? 공식 카운트다운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시각으로 7월 12일 오후 11시 30분(미국 동부 표준시로 7월 12일 오전 10시 30분)에 NASA TV에서 실시간으로 이미지가 공개될 예정이다. 또한 천문학자들과 공학자들이 나와서 결과들에 관해서 설명할 예정이다. 라이브 쇼는 이곳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첫 관측 이미지와 스펙트럼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 이미지의 다운로드 및 추가 콘텐츠는 이곳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공식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커뮤니티 이벤트 (Webb Space Telescope Community Events)는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타 JWST의 업데이트 관련 뉴스 확인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이미지와 스펙트럼에 대해 질문은 NASA Science Live를 담당하고 있는 이곳에서 찾을 수 있다.
(659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