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는 AI 기술을 중심으로 디지털 의료, 에듀테크, 핀테크 등이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운영 시스템으로 전환하면서 온라인 기반의 비즈니스가 빠르게 안착한 해였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작년 한 해 동안 비대면 문화와 ICT 기술에 대한 우호적 분위기가 형성돼 기존의 산업과 스타트업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저성장 시대, 불확실성의 시대 등 미래예측에 대해 어두운 전망이 쏟아지는 요즘,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스타트업의 전망을 ICT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저성장 시대에 스타트업은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게티이미지뱅크
2020년 우리나라 스타트업, 선택과 집중
한국은행이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 11월 호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국내외 여건 변화로 인해 2020년은 –1.1%, 2021년 3.0%, 2022년 2.5%의 수준을 나타낼 전망으로 예측했다. 성장폭이 다소 플러스로 전환된 것은 다행이지만, 현재 대다수의 국민들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체감할 정도로 어려운 경제 상황이다. 또한 보고서에 기재된 국내외 여건의 핵심 키워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경제에 직격탄이 된 것이 확실하다.
이러한 경제적 위기를 반영하듯 지난해 스타트업에 대한 우리 정부의 투자는 300억 가량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역시 코로나19의 여파로 투자 성향이 보수적 관점에서 접근한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긍정적인 신호는 코로나19로 인해 다양한 기술요소에 관심이 커지고, 비대면 기술 및 서비스 기업에 대해서는 과감한 투자도 이루어졌다는 것. 즉 스타트업 분야에 ‘선택과 집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올해 우리나라 스타트업은 ICT, AI 기술 중심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의료·헬스·에듀테크 분야의 AI 기술 약진
특히 ICT의 핵심으로 손꼽히는 인공지능 기술은 일상생활과 사회, 산업 전반에 접목되어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분야로서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경희대 빅데이터연구센터는 한국의 AI 분야 기업 지형 분석을 위해 ‘대한민국 AI 스타트업 25’를 조사해 발표했다.
이 조사는 AI 기술을 핵심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250여 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 유치 규모, 밸류에이션을 중심으로 한 제품, 서비스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는 상위 1~25위까지 집계하여 발표했다.
경희대 빅데이터연구센터 ‘대한민국 AI 스타트업 25’ Ⓒ경희대 빅데이터연구센터제공 재가공함
경희대 빅데이터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는 이경전 경희대 교수는 “국내 AI 스타트업에서 의료·헬스 분야의 약진이 두드러진다.”면서 그 원인으로 탄탄한 의료환경과 우수한 의료진, 그리고 대형병원이 발달해 환자 데이터가 풍부한 이유를 꼽았다.
AI 기술은 다양한 기술과 접목돼 의료 현장에서 시너지를 내고 있는 바, AI를 적용해 X선·CT·MRI 등 의료 영상부터 생체 신호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진단하는 기술, AI 기반 희귀 질환 유전자 진단 기술, 딥러닝 기반의 의료 영상 진단 서비스, 비대면 심전도 모니터링 웨어러블 기기 상용화 기술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 외에도 에듀테크가 ‘대한민국 AI 스타트업 25’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에듀테크는 AI와 딥러닝 기술이 접목돼 학습자에 대한 강화 학습, 협업 필터링, 학습자 맞춤형 교육 등을 서비스하는 기술이 주를 이룬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수업마저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에듀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그에 따라 관련 기술들이 고도화되는 추세다.
이 교수는 닷컴버블(dot-com bubble)에 속했던 기업들의 예를 들면서, AI 스타트업이 자체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고,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지 않으면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프랑스의 ICT를 중심으로 스타트업 생태계 재편
세계 주요 국가들 역시 ICT를 중심으로 스타트업 생태계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KOTRA에서 발간한 ‘2021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에 따르면 유럽의 스타트업에서는 블록체인, 로봇, 농업기술(Ag-Tech), 뉴푸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선진 제조기술 분야의 스타트업이 유망하다. 특히 2050년까지 탄소 배출 제로 달성을 목표로 하는 그린딜(Green Deal) 정책을 추진 중인 유럽은 신재생에너지 기술, 기후분석, 재활용 기술 등 클린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럽의 국가들 중 영국과 독일이 2020년에 들어서 스타트업 투자액 증가가 주춤한 사이, 프랑스는 라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를 통해 가장 빨리, 가장 큰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자국 내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 2014년부터 시작한 라 프렌치 테크는 스타트업에게 투자 및 성장 프로그램과 홍보를 지원하는 정부 주도의 정책이다. 이와 맞물려 2017년에는 엠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프랑스를 스타트업 국가로 만들겠다”고 선언하면서, 신기술과 창업에 대한 프랑스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라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는 스타트업에게 투자 및 성장 프로그램과 홍보를 지원하는 정부 주도의 정책Ⓒla french tech (유럽콘텐츠 산업동향 2020년 6호에서 인용)
프랑스는 미래 유망 산업을 신재생 에너지, 친환경 도시, 친환경 이동 수단, 미래형 교통수단, 미래형 의료, 데이터 경제, 스마트 디바이스, 디지털 보안, 미래형 식품 등 9개로 선정하여 관련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 여전히 문화산업이 프랑스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관련 산업이 많은 고용을 창출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략적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의 디지털화를 꾀하고 있는 모양새다.
특히 유럽에서 런던 다음으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한 파리는 ICT 및 디지털, 금융 서비스, 핀데크, 건강·바이오 및 생명과학, 영화 및 TV, 항공·우주, 자율주행·미래형 교통수단, 그린테크·에너지·친환경도시, 화장품·패션·럭셔리·디자인 등에 강세를 보인다. 이중 건강·바이오, 디지털 플랫폼, 재택근무 및 비대면 교육을 위한 기술, 핀테크 등이 투자자들의 투자 의향 상위에 랭크돼 있다.
(104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