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에너지공학전공 홍승태 교수 연구팀이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 후보로 주목받는 칼슘이온전지용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칼슘은 리튬보다 이온 크기가 크고 산화 수(oxidation number)도 높아 전지 소재로 사용할 경우 전극 물질의 구조적 변형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칼슘이온을 소재로 전지를 개발할 경우 리튬이온전지보다 용량이 크고 에너지밀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까닭에 칼슘이온전지 개발에 필수적인 양극 소재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연구팀은 분말 X선 회절 기법을 이용해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지닌 나시콘(NASICON) 구조 기반 양극 소재인 ‘NaV₂(PO₄)₃’를 개발하는 성과를 거뒀다.
홍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로 리튬이온전지 용량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칼슘이온전지 상용화가 앞당겨질 전망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재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캐미스트리 오브 머티리얼스(Chemistry of Materials)’ 9월 23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9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