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 다트(DART: 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쌍소행성 방향전환 평가) 미션이 소행성 디디모스 I 디모르포스(Dimorphos, 이하 디모르포스)의 궤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위 소행성과 충돌한 지 벌써 2주가 넘었다.
위 미션은 향후 지구와 충돌할 위협이 있는 소행성과 충돌하여 해당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며 최종적으로 지구를 지키기 위한 최초의 지구 방어 미션이다. 따라서, 위 미션을 통하여 인류가 실질적인 대응책을 발견할 수 있을지 큰 관심을 모았다. (관련 기사 보러 가기 – “소행성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DART 미션”)
충돌 전의 디모르포스 © DART/NASA
2주 정도 지난 후, 미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소행성의 경로를 변경하려 시작된 DART 미션의 시도에 대해서 분석한 후 결과를 발표했다.
DART 팀의 과학자들에 따르면, 겨우 자판기 크기만 한 탐사선이 폭이 160m 정도 되는 소행성 디모르포스의 궤도를 매우 성공적으로 변경시켰음이 확인되었다. 위 충돌은 인류가 우주선을 소행성에 충돌시켜서 처음으로 궤도를 바꾼 실험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번 임무를 통해서 기록된 모든 변수들은 지구를 소행성 충돌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략적인 디모르포스의 궤도 변화 © NASA, Johns Hopkins Applied Physics Laboratory, BBC
디모르포스는 지구 근처 소행성인 65803 디디모스(이하 디디모스)의 위성 소행성(쌍소행성계)이다. DART 탐사선의 충돌전 디모르포스는 디디모스 주위를 약 11시간 55분에 한 번씩 공전하고 있었다.
디디모스와 디모르포스 모두 지구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소행성이 아니지만, 소행성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구하기 위한 미션의 주인공이 되었다. 당초 과학자들은 이번 충돌로 인해서 디모르포스가 디디모스 궤도를 도는 속도가 약 1% 줄어들고 이에 따라 디모르포스의 공전주기가 수 분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DART 팀의 과학자들은 충돌 직후부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허블우주망원경 등 다양한 우주망원경과 지구에 배치된 여러 대형 망원경을 이용하여 디모르포스의 궤도 변화를 측정하기 시작했다. 또한, DART 탐사선의 충돌 며칠 전 분리되어 디모르포스에 관한 데이터를 계속 수집하고 있던 이탈리아우주국의 큐브위성인 리시아큐브(LICIACube)의 결과를 바탕으로 2주 정도 계속 변화를 추적한 끝에 제2, 3의 DART 미션은 지구의 수호자가 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충돌 후 디모르포스의 공전 주기가 11시간 23분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총 32분 정도의 변화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디모르포스가 디디모스에 수십m 정도 다가갔음을 의미한다. 공전 궤도는 당초의 예상이었던 1%보다 3%가량 더 변경되었지만, 이러한 미션들이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행성 방어 전략의 일부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음에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마치 우주 당구와 같다고 표현되고 있는 위 충돌 실험은 과학자들의 아이디어가 맞았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으며, 지구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소행성을 보다 정확하게 추려냄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DART 미션의 프로그램 과학자인 톰 스태틀러 박사(Dr. Tom Statler)는 위 실험에서 많은 결론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구성물질, 외형 등 다양한 모습의 소행성은 늘 다양한 방법으로 태양이나 행성들을 공전하며 우주를 여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소행성에 대한 단 한 번의 실험이 모든 소행성에 유사하게 대비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은 자칫 위험할 수 있다.
다만, 위 실험의 결과는 시뮬레이션에서 물리학 계산을 위한 기준점으로 사용될 것이며 이를 통해서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종류의 충격이 소행성의 궤도를 어떻게 변하는지 알려줄 것이다. 특히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다시 시작될 후속 연구가 매우 기대되고 있다.
반면, 유럽우주국(ESA)은 가까운 미래에 디디모스와 디모르포스의 관측과 후속 연구를 위하여 총 3개의 우주선을(통칭하여 HERA 미션으로 부름) 쏘아 올릴 예정이다.
(78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 소모량과 맞먹고,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학습 서버 한 대의 전력소모량이 알파고의 10배를 넘는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초저전력·고성능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인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소자) 기술 혁명이 필요한 이유다.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드론은 저렴한 가격과 기동성으로 소방·정찰·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운용 주체·의도를 숨길 수 있어 군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 테러리스트들도 쓰는 도구가 되고 있다.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국가 중요 시설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안티드론 기술 평가장이 되고 있다.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인 침팬지도 10대 때는 사춘기 청소년처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보이지만 인내심은 오히려 10대 청소년보다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 미시간대 알렉산드라 로사티 교수팀이 콩고공화국 보호구역에서 태어난 야생 침팬지 40마리를 대상으로 충동성과 위험 감수 경향, 인내심 등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경고가 뜨고 가스 밸브가 자동으로 잠긴다면 훨씬 안전할 수 있다. 기상청은 '지능형 사물인터넷'(사물지능융합기술·AIoT) 기술을 활용한 지진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차세대 지진재난문자 서비스 연동방안 연구'를 올해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