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20대 여성은 몸살이 난 것처럼 온몸이 아프고 열이 났다. 단순한 몸살 감기라고 생각하고 감기약을 먹었으나, 숨 쉬는 것이 어렵고 음식을 먹을 수 없을 정도로 구토가 심해지고 목 부위에 멍울이 생겨 병원을 찾았다. 이 여성은 ‘기쿠치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기쿠치병’은 생소한 병명이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30세 이하의 동양 여성에게 잘 생기는 질병이지만, 오진이 많은 편이고 종종 자연 치유가 되기 때문에 생소하다고 인식되고 있을 뿐이다.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이라고 불리는 기쿠치병은 1972년 일본인 의사 기쿠치가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하였다.
30세 이하의 젊은 동양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의 사례 보고가 많다고 알려져있다. 남성에 비해서 여성에게서 4배 정도 더 잘 발병하며, 아직까지 정확한 발병 원인이나 경로가 밝혀지지 않았다.
정확한 발병 원인과 경로가 밝혀지지 않아
가정의학과 이경숙 전문의는“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 이른바 기쿠치병이 왜, 어떻게 생기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며 “헤르페스 바이러스나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한다는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일관된 보고가 아니라 확실하지 않다”고 하였다.
이 전문의는 “일부에서는 림프종 등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도 나와있고, 실제로 기쿠치 림프절염의 10~20% 정도에서 선홍색 또는 암자홍색의 작은 반점이 피부에 생기는 루프스가 동반되기도 한다”면서 “그러나 이것이 기쿠치 병의 정확한 원인이라고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경숙 전문의에 따르면 기쿠치병은 임상적으로 급성 또는 아급성으로 1~3주에 걸쳐서 진행하는 직경 0.5cm~4cm 크기의 림프절 종대를 보이는 동통성 림프절염이 특징이라고 한다. 쉽게 나타나는 부위는 후경부 (posterior cervical triangle, 목 뒷부분) 림프절이나 겨드랑이, 장간막 등의 림프절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 전문의는 “환자의 30~50%에서 발열이 동반되며, 호흡기 증상과 야간 발한, 인후통, 체중감소,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며 “종종 피부 발진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발진은 주로 얼굴과 상지(上肢. 팔)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수
기쿠치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림프절의 절제 생검(biopsy) 또는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 등 림프절 조직 생검이 필수적이며, 세침흡인검사로는 진단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하지만 기쿠치병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서 악성 림프종, 결핵 등으로 오진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혈액학적으로는 50% 이상의 환자에서 경도의 백혈구 감소증이 특징적으로 관찰되기도 하며, 간효소 수치의 상승도 흔하게 관찰된다고 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고 있다.
기쿠치병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서 해열제, 소염 진통제를 투약하고 전신성 림프절염, 피부 잘빈, 간염 등의 림프절 이외의 조직 침범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쿠치병은 증상을 완하하는 ‘대증치료’가 원칙이기 때문에 몸의 증상들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가정의학과 김승원 전문의는 “기쿠치병의 경우 진단이 어렵지만 한번 진단이 내려지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며 “일부 환자의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치유되기도 하고, 대부분은 1~4개월간의 약물 치료로 호전을 보인다”라고 하였다.
‘기쿠치병’은 생소한 병명이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30세 이하의 동양 여성에게 잘 생기는 질병이지만, 오진이 많은 편이고 종종 자연 치유가 되기 때문에 생소하다고 인식되고 있을 뿐이다.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이라고 불리는 기쿠치병은 1972년 일본인 의사 기쿠치가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하였다.
30세 이하의 젊은 동양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의 사례 보고가 많다고 알려져있다. 남성에 비해서 여성에게서 4배 정도 더 잘 발병하며, 아직까지 정확한 발병 원인이나 경로가 밝혀지지 않았다.
정확한 발병 원인과 경로가 밝혀지지 않아
가정의학과 이경숙 전문의는“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 이른바 기쿠치병이 왜, 어떻게 생기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며 “헤르페스 바이러스나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한다는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일관된 보고가 아니라 확실하지 않다”고 하였다.
이 전문의는 “일부에서는 림프종 등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도 나와있고, 실제로 기쿠치 림프절염의 10~20% 정도에서 선홍색 또는 암자홍색의 작은 반점이 피부에 생기는 루프스가 동반되기도 한다”면서 “그러나 이것이 기쿠치 병의 정확한 원인이라고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경숙 전문의에 따르면 기쿠치병은 임상적으로 급성 또는 아급성으로 1~3주에 걸쳐서 진행하는 직경 0.5cm~4cm 크기의 림프절 종대를 보이는 동통성 림프절염이 특징이라고 한다. 쉽게 나타나는 부위는 후경부 (posterior cervical triangle, 목 뒷부분) 림프절이나 겨드랑이, 장간막 등의 림프절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 전문의는 “환자의 30~50%에서 발열이 동반되며, 호흡기 증상과 야간 발한, 인후통, 체중감소,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며 “종종 피부 발진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발진은 주로 얼굴과 상지(上肢. 팔)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수
기쿠치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림프절의 절제 생검(biopsy) 또는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 등 림프절 조직 생검이 필수적이며, 세침흡인검사로는 진단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하지만 기쿠치병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서 악성 림프종, 결핵 등으로 오진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혈액학적으로는 50% 이상의 환자에서 경도의 백혈구 감소증이 특징적으로 관찰되기도 하며, 간효소 수치의 상승도 흔하게 관찰된다고 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고 있다.
기쿠치병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서 해열제, 소염 진통제를 투약하고 전신성 림프절염, 피부 잘빈, 간염 등의 림프절 이외의 조직 침범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쿠치병은 증상을 완하하는 ‘대증치료’가 원칙이기 때문에 몸의 증상들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가정의학과 김승원 전문의는 “기쿠치병의 경우 진단이 어렵지만 한번 진단이 내려지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며 “일부 환자의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치유되기도 하고, 대부분은 1~4개월간의 약물 치료로 호전을 보인다”라고 하였다.
- 이슬기 객원기자
- justice0527@hanmail.net
- 저작권자 2013-08-1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