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가 탄생한 시기는 약 45억 년 전으로 추정된다. 이후 다양한 지질시대를 거치면서 2억5190만 년 전부터 2억130만 년 전까지 지구상에 있는 모든 땅이 하나로 합쳐진 트리아스기(Triassic period)로 돌입한다.
그리고 판게아(Pangea)로 불리는 하나로 합쳐진 땅에 공룡이 등장한다. 이어 악어‧포유류‧개구리‧도마뱀과 같은 다양한 종의 생물들이 생겨난다. 지금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동물들의 조상들이 탄생한 시기다.
큰 몸집과 빠른 발로 사나운 공룡들과 공존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 시기에 살았던 또 다른 종(種)의 동물들을 찾고 있었다. 그리고 최근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다.
23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스웨덴 웁살라 대학 고생물학자들은 폴란드 과학아카데미와 공동으로 트리아스기에 살았던 거대한 포유류처럼 생긴 동물 화석을 발견했다.
공룡의 사촌격인 이 동물은 겉은 코뿔소 모습이었지만 거북이처럼 크고 뾰족한 코를 가지고 있었다. 몸집은 아프리카 코끼리처럼 거대해 고생물학자들은 몸무게가 9톤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동물이 공룡의 원조격인 수궁류(therapsids), 초식성 파충류로 이빨이 퇴화한 쌍아류(dicynodonts), 그리고 악어, 익룡, 거북이, 개구리, 도마뱀 등의 특징을 함께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스웨덴 웁살라대, 폴란드 과학아카데미 공동 연구진은 이 새로운 종의 이름을 ‘리조비키아 보야니(Lisowicia bojani)’로 명명했다. 관련 논문은 23일 ‘사이언스’ 지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Giant mammal cousin rivaled early dinosaurs’이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리조비키아 보야니’ 화석이 2억4000만 년 전부터 2억100만 년 전에 살았던, 공룡의 사촌격인 포유류 동물의 화석이라고 밝혔다.
이 시기 공룡들이 번창하면서 많은 포유류들이 멸종되거나 어두움 속에서 숨어 살았다. 그러나 이 초식동물은 이빨을 거칠게 변모시키는 대신 몸집을 거대하게 부풀려 사나운 공룡들과 공존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리조비키아 보야니’가 지구 내부의 폭발로 생물 대부분이 멸종한 고생대 마지막 시기인 페름기(Permian period, 2억9890만 년 전 ~ 2억5190만2000년 전)에도 살아남아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포유류 탄생의 역사 새로 구성해야”
연구팀이 화석을 발견한 곳은 폴란드의 한 시골마을인 리조비케(Lisovice)다.
‘리조비키아 보야니(Lisowicia bojani)’란 명칭은 이 마을의 이름과 해부학자로서 세계적인 존경을 받은 바 있는 독일 과학자 루드비히 하인리히 보야누스(Ludwig Heinrich Bojanus)의 성을 결합한 것이다.
이번에 발견한 화석은 길이 4.5m, 높이 2.6m 크기로 지금의 코끼리 무게로 환산하면 9톤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런 크기와 무게는 파충류에서 진화한 다른 포유류 초식동물인 쌍아류 화석들보다 40% 더 크거나 무거운 것이다.
연구팀이 화석의 다리뼈를 분석한 결과 이 동물은 매우 빨리 달릴 수 있어 사나운 공룡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트리아스기 말기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에 참여한 폴란드 과학아카데미 토마츠 슐레이(Tomasz Sulej) 박사는 “‘리조비키아 보야니’란 새로운 종 발견으로 트리아스기에 살았던 ‘디키노돈트(Dicynodont)’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디키노돈트란 포유류와 비슷한 멸종된 초식성 파충류다. 페름기 후기와 트라이아스기에 해당하는 2억6000만에서 2억2500만 년 전 사이에 살았던 생물종이다.
이들은 이빨이 없고 뿔 모양의 부리로 먹이를 잡아 찢어 육중한 턱으로 분쇄시켜 먹었다. 또한 다리는 억세고 거동은 느렸다.
디키노돈트는 지구상의 모든 곳에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살아갔다. 개체수뿐만 아니라 종의 수도 아주 많아 페름기의 표준 화석으로 간주되고 있다.
웁살라 대학의 그르체고르츠 니츠비츠키(Grzegorz Niedzwiedzki) 박사는 “디키노돈트가 트리아스기 동안 매우 성공적인 생존을 거듭하면서 ‘리조비티아 보야니’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리조비티아 보야니’ 화석은 트리아스기에 살았던 포유류와 비숫한 공룡들의 역사를 추적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포유류의 역사가 새로 써질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폴란드 리조비케 마을 탐사는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됐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1000여 개의 뼈 화석과 관련된 화석들을 수집했다.
고생물학자들은 트리아스기 말기 화석이 대거 축적돼 있는 이 마을에서 다양한 동물 화석들을 발견했다. 그중에는 디키노돈트, 목이 긴 공룡인 사우로포도모르프(Sauropodomorphs) 등의 화석이 포함돼 있다.
연구팀은 그중에서도 특히 디키노돈트의 화석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 종과 새로 발견한 ‘리조비티아 보야니’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사람이 포함된 포유류 조상들의 역사를 새로 써나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788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