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은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며, 매일 동영상을 시청하는 국민도 7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서비스 이용률은 25.2%로 조사돼 AI 서비스가 대중화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9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1999년부터 매년 조사를 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전국 2만5031가구 6만254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9월 이틀 동안 방문·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 인터넷 이용 환경과 이용률 ▲ 이용 행태 ▲ 주요 서비스 활용 상황을 조사했다.가구 인터넷 접속률은 99.7%로, 대부분 와이파이(100%), 모바일 인터넷(99.9%) 등 무선방식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별 인터넷 접속 방법 가운데 5G 사용자는 지난해 6.2%로 조사됐다.
또 인터넷 이용률은 91.8%고, 남성의 이용률은 93.9%, 여성의 이용률은 89.6%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국민은 한주에 평균 17.4시간 인터넷을 사용하고, 하루에 1회 이상 인터넷을 사용한 사람의 비율이 93.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용 목적을 보면 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95.4%), 정보수집(94%), 게임·영화 등 여가활동(94%)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국민의 81.2%가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어 동영상은 일상적인 서비스로 자리를 잡았다고 과기정통부는 분석했다. 매일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도 73.7%에 달했다.
세대별로 보면 ▲ 10대 88.5% ▲ 20대 93.2% ▲ 30대 89.5% ▲ 40대 85.2% ▲ 50대 77.7% ▲ 60대 60.2% ▲ 70대 47.1%로 조사됐다.
또 정보검색 방식을 보면 포털사이트 이용이 84.4%로 가장 많았고, 동영상 서비스 37.7%, 메신저 34.6%,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17.8%로 나타났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0-02-2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