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연구팀 "초기 지구 모사실험서 CO₂→유기 분자 전구체 생성 확인"
44억년 전 초기 지구에서 생명체 재료가 되는 탄화수소, 알데히드, 알코올 등 유기 분자들이 철이 풍부한 운석이나 화산재 입자들이 촉진하는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뮌헨 루트비히막시밀리안대학 올리버 트랩 교수팀은 26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초기 지구 환경 모사 실험에서 철이 풍부한 운석·화산재 입자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생명체에 필요한 탄화수소 등 유기 분자 전구체로 바꾸는 화학반응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초기 지구 전체에서 이런 메커니즘으로 연간 60만t의 유기 분자 전구체가 합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메커니즘이 당시 대기와 해양에서 일어난 다른 반응과 결합해 생명체 출현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전 연구에서 탄화수소, 알데히드, 알코올 같은 유기 분자 전구체가 소행성과 혜성에 의해 지구로 전달됐거나 초기 지구 대기와 해양에서 번개, 화산활동, 소행성 충돌 등 에너지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생성됐을 가능성이 제기돼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화산섬에 퇴적된 운석이나 화산재 입자가 초기 지구의 대기 중에 있던 이산화탄소, 수소, 수증기 등을 유기 분자 전구체로 바꾸는 화학반응을 촉진했을 가능성을 실험했다.
먼저 이산화탄소를 가열 가압 시스템(오토클레이브)에 넣고 9~45기압의 압력을 가하고 150~300℃로 가열하는 등 초기 지구의 다양한 환경을 시뮬레이션했다. 이와 함께 수소나 물을 첨가하며 습하거나 건조한 기후 조건도 만들었다.
이어 철 운석, 돌 운석, 화산재 가루 등을 초기 지구에 존재했을 다양한 조합의 광물들과 함께 시스템에 추가해 화산섬에 철이 풍부한 운석·화산재 입자가 쌓이는 상황을 재현하며 화학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철이 풍부한 운석·화산재 입자들이 촉매로 작용해 이산화탄소로부터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같은 유기 분자 전구체가 생성되는 화학반응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탄화수소 분자들은 300℃의 높은 온도에서 생성되고 알데히드와 알코올은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초기 지구의 대기가 점차 냉각되면서 알코올과 알데히드 생성이 증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화학반응의 속도를 계산하고 초기 지구 환경 조건들을 적용한 결과 지구 전체에서 이런 메커니즘을 통해 연간 최대 60만t의 유기 분자 전구체가 생성됐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어 초기 지구 대기는 산화반응을 일어나기 좋은 환경이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산소가 함유된 유기화합물이 더 효율적으로 생성됐을 것이라며 초기 지구는 대기 가스를 복잡한 유기물로 전환하는 거대한 촉매 반응기였던 셈이라고 말했다.
(53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