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4주정도 지난 후에 다시 같은 질문을 하면 여전히 일부분의 학생들에게서 ‘하나의 난자에 두 개의 정자가 수정되어 만들어진다’ 라는 강한 오개념(misconceptions)이 관찰된다. 이러한 일란성 쌍둥이에 대한 잘못된 개념은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에서도 많이 관찰되는 그릇된 개념이다.
정자와 난자가 수정되어 만들어진 수정란은 세포분열(난할)을 하면서 2개·4개·8개·16개…의 세포(할구)로 분열되는 난할기를 거친 후, 상실기·포배기·낭배기·배엽형성·기관형성 등 일련 의 발생 과정을 거치면서 새 생명의 아이가 출산하게 된다.
일부분의 어머니들은 두 개 이상의 난자를 배출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두 개의 난자에 한 번 사정으로 방출된 1억 마리 이상의 정자 가운데 가장 빨리 도달한 두 개의 정자가 각각 수정되어 태어난 아이들을 이란성 쌍둥이라고 부른다. 만약에 세 개의 난자에 세 개의 정자가 각각 수정된다면 삼란성 쌍둥이가 태어날 것이다.
이란성 쌍둥이는 염색체와 유전자의 구성에 있어서 형제만큼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긴 모습이 서로 똑같지 않다. 그러나 성별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모든 난자는 X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나 정자는 X 또는 Y 염색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두 개의 난자(X)에 두 개의 정자(X) 각각 수정되면 두 명의 이란성 딸(XX)이 태어나고, 두 개의 정자(Y)가 각각 수정되면 두 명의 이란성 아들(XY)이 태어나며, 한 개의 정자(X)와 또 한 개의 정자(Y)가 각각 수정되면 이란성 딸(XX)과 아들(XY)이 태어나고, 반대로 한 개의 정자(Y)와 또 한 개의 정자(X)가 각각 수정되면 이란성 아들(XY)과 딸(XX)이 태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란성 쌍둥이의 성별이 같을 확률은 50%이다.
즉, 이러한 유전적인 차이 때문에 수정란이 발생하여 태어난 아이에게 수정극체가 조직 거부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한 수정란이 정상적으로 발생하는데 반해 수정극체가 발생이 중지되는 이유는 세포질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난자의 세포질이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생명공학의 일종인 핵이식(핵치환) 기술로 복제양 돌리, 복제소 영롱이와 진이, 사람의 줄기세포를 만들 때, 핵을 제거한 미수정란의 세포질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일란성 쌍둥이는 317쌍 중 80.3%가 동시에 정신분열증이 발병하였으나 이란성 쌍둥이는 13.0%가 동시에 발병하였고, 일란성 쌍둥이 중에서도 발병 전에 함께 살고 있었던 경우에는 정신분열증이 발병률이 91.5%로 높았으나 떨어져 살고 있었던 경우에는 77.6%로 다소 낮았다.
따라서 정신분열증은 일차적으로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이차적으로 환경적 요인이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란성 쌍둥이의 지능 일치율은 90%이나 이란성 쌍둥이의 지능 일치율은 52% 정도이다. 따라서 지능은 환경보다 유전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추정할 수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