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와 울릉도에 서식하는 괭이갈매기 깃털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처음 검출됐다. 독도와 울릉도는 세계적으로 가장 오염된 해류로 평가받는 구로시오 해류에 영향을 받는다.
3일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 11월호에 실린 '한국 괭이갈매기 깃털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첫 보고' 논문에 따르면 경희대 한국조류연구소 연구진은 작년 6월 독도와 울릉도에서 괭이갈매기 17마리를 포획했다. 연구진이 포획한 괭이갈매기에게서 가슴깃을 떼어내 과산화수소수로 처리한 뒤 적외선분광기로 검사한 결과 미세플라스틱 170g, 73개가 검출됐다.
미세플라스틱은 길이가 5㎜ 미만인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 포획한 괭이갈매기의 몸무게가 평균 490g이었으니 몸무게의 2%를 미세플라스틱이 차지하고 있었던 셈이다. 미세플라스틱이 나오지 않은 개체는 없었다.
미세플라스틱을 종류별로 보면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이 각각 26개와 21개로 가장 많이 나왔다. PE와 PP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 부력이 크므로 해수면에 떠 있는 바닷새 깃털에 붙기 쉽다. 폴리스타이렌(PS)도 10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도 16개 발견됐다.
체내에 축적된 미세플라스틱이 소화기관에 악영향을 준다면, 깃털에 붙은 미세플라스틱은 유기오염물질이나 독성화학물질과 흡착해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또 미세플라스틱이 깃털을 둘러싼 기름막을 흡수하면 방수성과 보온성을 저해해 생존력을 떨어트릴 수 있다.
연구진은 "아직 깃털에 있는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2차 피해는 보고된 적 없지만 유기오염물질 노출과 독성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우려된다"라며 "추가적인 생태독성학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3-12-0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