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올해 1천241억 원을 투입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에게 데이터바우처 2천680건을 지원한다고 5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4일 데이터 활용 비즈니스 및 제품·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바우처 형식으로 기업·기관에 지원하는 ‘2022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의 수요기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공모에서는 1만466건이 접수돼 작년(6천179건)보다 69.4% 증가했고 평균경쟁률은 3.9 대 1이었다.
분야별로는 제조(652건·24.3%)가 가장 많았고, 문화(423건·15.8%), 통신(406건·15.1%), 헬스(234건·8.7%), 교육(145건·5.4%) 순이다. 상위 5개 분야가 전체의 69.3%를 차지했다.
올해는 ‘운전자 졸음식별 및 졸음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AI기반 수어(手語) 통역 솔루션’, ‘AI기반 중고차 상태 자동 검수 솔루션’ 등 국민안전 및 편익증진 분야에 중소기업들의 참신하고 혁신적인 과제가 많이 선정됐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1천723건(64.3%), 비수도권 957건(35.7%)으로 전년(33.2%) 대비 비수도권 선정 비율이 2.5%포인트 상승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청년 스타트업의 참여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 결과, 전체 선정기업 중 청년 기업이 787개(29.4%)를 차지했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 류제명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지역·청년 기업들의 참여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라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기반 혁신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8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12일 국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협력단이 발표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 포착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도 참여해온 EHT 프로젝트를 통해 거둔 획기적인 성과다. 블랙홀이라고 하면 대부분 영어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해 '검은 구멍'을 떠올리지만 블랙홀은 빛조차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으로 파괴되는 병이다. 이렇게 베타세포가 손상되면 인슐린 부족으로 혈당치가 급격히 치솟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1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아프리카나 중동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북위 37.7도인 우리나라 파주시에도 사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경기 파주시에서 관찰되기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
북한은 평양 강동군 구석기 동굴에서 2만여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연구팀은 최근 강동군 임경노동자구 구석기 동굴을 탐사하던 중 2층 문화층에서 인류 화석 7점, 짐승 뼈 화석 9종에 300여점, 포분화석 274개를 발굴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들과 학부생들이 질병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1일 서울대는 의과대학 한범·정기훈 교수팀이 세포 분류를 선행하지 않고 신약개발 타깃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마르코폴로'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한 OLED 비파괴 검사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OLED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결함을 확인하고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