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환자의 가장 큰 고민은 체중 감량에 성공한 후 체중이 다시 원래대로 회복되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감량된 체중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어떤 치료법이 가장 좋은지를 밝힌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없었다.
그런데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과 흐비도브레병원 연구진은 식이요법으로 인한 체중 감량 후 네 가지 치료법을 실험함으로써 장기간 체중 감량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을 처음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덴마크 연구진은 체중 감량 후 네 가지 치료법을 실험함으로써 장기간 체중 감량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을 처음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사람들이 살을 빼기 시작하면 에너지 소비 감소와 함께 식욕이 증가해 체중 감량 유지를 방해하게 된다. 체중이 줄면 식욕을 자극하는 호르몬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의 수치는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중을 감량하는 것보다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기 마련이다.
연구진은 비만에다 체력 등급이 낮은 215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8주 동안 저칼로리 식단을 제공했다. 그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평균 13㎏씩 체중이 줄어들었으며 혈당 수치와 혈압도 떨어지는 등 건강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 후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를 무작위로 4개의 그룹으로 나눈 다음 두 그룹에게는 리라글루티드라는 비만 치료제를 제공하고, 나머지 두 그룹에게는 위약을 제공했다. 또한 비만 치료제를 투여받은 두 그룹 중 한 그룹은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중강도 혹은 75분간 고강도로 운동시키고, 나머지 한 그룹은 평소 신체 활동량을 유지하도록 했다. 위약을 투여받은 두 그룹 역시 한 그룹에는 동일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른 그룹에게는 제공하지 않았다.
비만치료제와 운동 병행할 때 효과 가장 높아
모든 실험 참가자는 매월 체중을 측정하고, 보건당국의 지침에 따라 영양 및 식이요법 상담을 받았다. 그렇게 1년이 지난 후 체중 및 건강 상태를 체크한 결과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비만 치료제만 투여받은 그룹과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한 위약 그룹의 경우 감량한 체중과 건강 증진 효과를 그대로 유지했다. 그러나 위약을 먹고 운동을 하지 않은 그룹은 다시 체중이 불었을 뿐만 아니라 8주 동안 체중 감량으로 얻은 모든 건강상의 이점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극적인 개선 효과는 비만 치료제와 운동 프로그램을 병행한 그룹에서 나타났다. 이 그룹은 1년 동안 추가로 3㎏이 더 빠져 총 16㎏이 감량됐다. 또한 혈당과 체지방량은 감소하는 대신 근육량은 보존되었으며, 체력 등급이 높아지고 삶의 질이 향상되는 등 각각 비만 치료제와 운동 요법만 시행했던 단일 치료법 그룹보다 건강 증진 효과가 두 배나 더 높았다.
네 가지 치료법에 대해 체중 감량 유지 효과를 표시한 그래프. 위에서부터 위약, 위약+운동, 비만치료제, 비만치료제+운동 그룹이다. ©Karina Kjærgård Kranker
특히 운동 요법을 시행한 두 그룹의 경우 체력 등급과 근육량은 높아지는 대신 체지방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체력 등급을 높이지 않고 체지방량만 줄인 사람들보다 더 건강한 체중 감량을 달성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의학 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
현재 전 세계 인구의 약 40%가 과체중이며, 13%는 비만인 것으로 추정된다. 비만은 제2형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각종 암, 불임 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조기 사망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질환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코펜하겐대학 생물의학과의 시그네 토레코프(Signe Torekov) 교수는 “이 실험 결과는 의사, 영양사, 물리치료사들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이다”라며 “사이클 같은 강도의 운동을 일주일에 115분 이상 하면 감량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은 공중 보건에 좋은 소식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비만학회가 지난달 말 발표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4명은 코로나19 이전 대비 체중이 3㎏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이 증가한 요인으로는 일상생활 활동량 감소(56%)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운동 감소(31%), 식이 변화(9%) 등으로 조사됐다.
이 설문조사에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했다고 답한 응답자 중 54%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복용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의사 처방을 통해 약을 먹는다고 답한 응답자의 96%는 체중 감량 효과를 확인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 경우 역시 10명 중 9명은 비용 부담 및 부작용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복용을 중단한 것으로 밝혀졌다.
(257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 사멸 조절 기작을 발견, 암 발생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상태 물이 있는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미군의 역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싱크탱크 랜드연구소는 지난 24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미군이 장·단기적 기후변화 과제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랜드연구소는 기후변화가 미국의 병력 훈련, 정비 및 시설 정비, 국내외에서의 효과적 작전 수행 역량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며 폭염, 홍수, 산불, 가뭄, 토지 황폐화, 열대 폭풍우 등을 기후위험으로 꼽았다.
/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대상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3.3%가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대상이 된 슈퍼 박테리아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critical) 위협'으로 규정한 박테리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