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산학협력 사업을 통해 지원한 한국항공대학교 연구팀이 휴대전화·노트북 카메라로 가상현실(VR)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에서 연구를 수행 중인 백중환 항공대 항공전자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휴대전화·노트북·웹캠에 장착된 단일 카메라로 깊이 정보를 예측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일반적으로는 VR 콘텐츠를 제작하려면 인체 착용형 센서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해 아바타를 제어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부 동작에 대한 인식도가 떨어지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백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단일 카메라만으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3차원으로 예측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 처리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이 기술을 적용해 가상·증강현실(VR·AR) 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경우 고가의 깊이 센서보다 향상된 인식 성능으로 기존 대비 최대 80%까지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인 누구나 이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가상 캐릭터와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한편 교육용 VR 콘텐츠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항공대 지역협력연구센터는 우선 스토리북 제작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과 협업해 춤이나 태권도 품새 교육용 VR 콘텐츠 제작에 적용할 예정이다.
GRRC 사업은 도내 대학·연구소와 중소기업을 연결해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산학 협력 모델로 현재 10개 센터에서 연구개발을 수행 중이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3-03-06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