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활용해 보행자와 접근 차량의 충돌 위험을 경고하는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이 시범 도입된다.
국토교통부는 민간이 보유한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일반국도 지능형교통체계(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적용하는 ‘ITS 혁신기술 공모사업’을 진행한 결과, 총 3건을 선정해 실제 도로에 시범 적용한다고 7일 밝혔다.
ITS란 도로에 설치된 센서 등을 통해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각종 단말기로 보내 차량 흐름을 원활하게 관리하는 교통 시스템을 말한다.
이번 공모는 인공지능(AI), IoT, 빅데이터 등 다양한 기술을 ITS에 접목해 디지털 도로망 구축 사업을 고도화하고 다양한 도로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모 결과 총 57개 제안서가 접수됐으며, 2단계 평가 방식을 거쳐 3건의 사업이 선정됐다.
하나텍시스템이 제안한 ‘IOT 지자기 센서를 활용한 횡단보도 스마트안전시스템’은 교차로 접근 차량과 보행자에 조명과 음향 등을 통해 위험 상황 경보를 울리는 시스템이다.
SK플래닛이 제안한 노면 위험 정보 알림 솔루션은 노면 주행 음향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운전자에게 결빙 등 노면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또 SKT는 통신 기지국 고정밀 측위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활용해 각종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ITS 혁신 서비스 개발을 제안해 시범사업에 선정됐다.
국토부는 선정된 기술을 실제 도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올해 말까지 진행하고 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주현종 국토부 도로국장은 “이번 공모사업은 공공 ITS 시장에 처음 시도된 발주방식으로 ITS 기술 혁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국민 체감형 서비스와 교통안전 서비스 모델을 꾸준히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13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포함된 '사건 지평선 망원경'(EHT) 국제 공동 연구팀은 15일 거대 은하 'M87'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질량이 태양의 수십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블랙홀)이 강력한 제트를 분출하는 관측 결과를 공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읍·면·동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조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15일 발표했다.
AI 음악 생성 기술 콘텐츠 제작사 '엔터아츠'의 음반 레이블 'A.I.M'은 가수 하연의 디지털 싱글 'idkwtd'(I don't know what to do)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글로벌 NFT 마켓인 '민터블'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한다고 15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물리학과 김대식 특훈교수 연구팀이 0㎚(나노미터·10억분의 1m)부터 시작하는 초미세 틈(제로 갭·zero gap) 구조의 광학 소자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다양한 미래 체험이 가능한 '4차산업 체험문화 공간 놀이터'가 15일 전북 정읍학생복지회관 3층에 둥지를 틀었다.
국내 연구진이 냉각소자가 필요한 기존 열영상센서와 달리 냉각소자 없이도 100℃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열영상센서를 개발, 스마트폰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자율주행자동차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5일 우리나라가 제안한 정차(停車) 중 고출력 무선 충전 기술의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국제표준화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