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저 너머 우주에는 어떤 세계가 있을까? 지구 외 다른 별에도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우주는 인류에게 있어 언제나 동경과 궁금증의 대상이 되어 왔다. 오랜 시간 동안 인간들은 우주의 별들을 탐험하고자 하는 꿈을 꾸어왔다. 달 탐사에 이어 이제 인류는 화성에 유인 우주선을 파견하겠다는 원대한 계획에 성큼 다가서고 있다.
지구 저 너머 우주를 탐사하겠다는 인류의 꿈
제 20회 대한민국 과학창의축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특설무대. 이 곳에서는 ‘달과 우주 탐사’에 대한 대중과학강연이 한창 펼쳐지고 있다. 축전 기간 동안 네번의 달과 우주에 관한 강연이 계획되어 있다. 지난 4일에는 인류가 왜 달을 탐사하는 지에 대한 강연과 미국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의 화성 탐사 계획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주한미국대사관 로렌 리(Economic officer)여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은혁 박사는 나사(NASA)의 자료를 토대로 우주인들의 생활과 화성 탐사 계획에 대해 소개했다.
강연자로 나선 로렌 리 여사는 청중을 향해 영화 ‘마션’을 본 적 있느냐고 질문했다. 영화 ‘마션’에서처럼 화성에서 감자 키우기가 가능할까? 정답은 “아직은 불가능하다”이다. 하지만 “화성에 도착해 시도는 해볼 만 하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우주공간에서 식물 재배는 가능할까? 이에 대해 로렌 리 여사는 “물론 가능하다”고 말했다.
우주인들은 우주선 안에서 꽃이나 식물을 키운다. 신디사이저와 기타를 연주하기도 한다. 체력을 보충하기 위한 운동은 필수이다. 지구에서 화성을 가는 데만 걸리는 시간은 약 250일. 지구로 돌아오는 시간까지 생각하면 500일이라는 긴 시간을 우주선 안에서 지내야 한다. 따라서 체력을 확보하고 즐거운 취미 생활을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로렌 리는 “사람들은 우주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몇가지 가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화성에는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언제가는 인간이 화성에 가서 살 수 있을까? 우주 여행을 통해 우리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등이 그러한 궁금증들이다.
가장 가까운 질문으로는 “과연 화성에 갈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이 있다. 이에 대해서 로렌 리 여사는 “우리에게는 정말 멋진 로켓이 있다”며 화성을 탐사할 ‘오리온호(Orion Crew)’를 소개했다. 화성에 가기 위해서는 왕복 우주선과 우주선을 화성까지 쏘아올릴 로켓 시스템이 필요하다.
화성 탐사 위한 만반의 준비 갖춘다
그는 오리온호를 쏘아 올릴 차세대발사시스템(Space Launch System, SLS)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로켓 시스템이라고 소개했다. SLS는 달을 다녀온 아폴로호에서 업그레이드 된 버전이다. 나사는 오는 2018년 SLS에 무인 오리온호를 실어 화성에 보내기 위한 1차 미션을 수행할 계획이다. 유인 왕복선은 2030년대에 보내는 것으로 계획 중이다.
일반인들이 화성은 언제쯤 갈 수 있을까? 이에 대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은혁 박사는 “스페이스 X나 아마존 등 많은 민간 기업에서 무중력 상태의 여행을 계획 중”이라고 밝히고 “하지만 사람이 우주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훈련이 필요하다. 때문에 우주 여행이 물리적으로 가능해지더라도 일반인들에게 대중화 되기 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강연에 참여한 학생들 및 일반인들의 궁금증은 끝이 없었다. 많은 이들이 강연에 직접 질문하고 우주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오랫동안 가졌다. 우주에 대한 수많은 궁금증들은 나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많은 학생들은 진지하게 나사에 근무할 국제 인턴쉽에 대해 질문하기도 했다.
세 아이의 엄마라고 밝힌 로렌 리 여사는 한국의 학생들의 뜨거운 참여에 놀라움을 표시했다. 그리고 한국의 학생들이 우주과학에 대해 나사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해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우주에는 성역이 없다. 어느 누구만의 영역이 아니다. 누구나 함께 협력해 자원을 나눠가질 수 있다”며 한국 학생들의 더 큰 참여를 유도하고 격려했다.
(1387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