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류의 기술로는 지구에서 화성까지 가려면 평균 7개월 이상 걸린다. 화학 로켓 방식의 한계로 더 이상 추진력을 높이기 어려워서다. 그런데 화성까지 단 3개월 만에 도달할 수 있는 기술이 본격적으로 개발될 전망이다.
지난 16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우주에서의 원자력 응용에 관한 새로운 행정 지침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우주 원자력 발전뿐만 아니라, 핵추진 우주선의 개발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눈길을 끌었다.
우주비행사를 화성으로 보낼 수 있는 핵추진 우주선 상상도. © NASA
아마도 트럼프 행정부의 마지막 우주 정책이 될 이번 지침의 정식 명칭은 ‘우주 정책 지침-6(Space Policy Directive 6, SPD-6)’, 말 그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여섯 번째 우주 정책이라는 뜻이다.
SPD-1은 공식적으로 미국 우주비행사를 다시 달로 보내고, 유인 화성 탐사를 준비하도록 지시하는 내용이었다. 이후 미국은 우주 개발 방향을 급선회해서 2024년 달 재착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바로 아르테미스 계획이 시작된 배경이다.
SPD-2는 민간 우주비행 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를, SPD-3은 우주 교통 관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미 우주군을 설립토록 지시한 SPD-4는 국제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고, SPD-5는 미국의 우주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보안 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가 되었다.
화성 기지에서 사용할 소형 핵 발전 시스템 상상도. © NASA Glenn Research Center
SPD-6은 미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미국 정부 기관들에게 달, 화성 등에서 사용할 핵분열 발전 시스템과 우주 핵추진 시스템의 개발을 촉구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다. 지금껏 우주 정책 지침이 해왔던 역할을 생각하면 그 비중이 상당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미국 국립우주위원회의 스콧 페이스(Scott Pace) 사무총장은 백악관 보도 자료를 통해 “우주 원자력 발전 및 핵추진 기술은 화성과 그 너머로 향하는 심우주 임무를 근본적으로 가능하게 한다”라면서 “미국은 우주에서 원자력 기술을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적용하면서 우주 개발 국가 중 선두주자로 남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우주 핵추진 시스템 다시 개발
우주 핵 발전 시스템은 이미 NASA에서 개발 중이기에 별반 새로운 사안은 아니다. 10kW급 소형 원자로를 달 남극의 기지에 설치한다는 구상. 그러나 핵추진 시스템에 대한 개발 촉구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 민간 기업이 개발 중인 열핵추진 로켓 엔진. © UNC-Tech
우주 개발 초창기, 미국은 우주 공간에서 효율적인 추진력을 얻기 위해 ‘열핵추진(Nuclear Thermal Propulsion)’ 기술 개발을 시도했다. 핵분열 반응에서 나오는 원자로의 열을 이용하여 연료를 가열하고, 이때 발생한 고온·고압가스를 분사하여 추진력을 내는 방식이다.
이론상 열핵추진 로켓 엔진은 화학 로켓 엔진보다 최대 3배가량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다. 반면, 추력이 비교적 약해서 대기권이 아닌 우주 공간에서나 사용 가능하다. 열핵추진 엔진을 탑재한 우주선은 화성까지 100일 만에 도착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이 취소된 코페르니쿠스 우주선 상상도. 3개의 대형 열핵추진 엔진을 탑재할 계획이었다. © NASA
심우주 지배권 확보가 목적
핵추진 우주선은 우주로 핵 물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거나, 우주 핵 군비경쟁을 유발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실현되지 못했다.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의 처리 문제도 한 이유였다.
그러나 유인 화성 탐사를 위해 핵추진 기술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많다. 이에 미국의 몇몇 기업은 잊힌 과거 기술을 재현하여 열핵추진 로켓 엔진을 개발 중이다. SPD-6은 정부 차원의 지원을 통해 우주 핵추진 기술 개발을 유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우주 굴기도 미국의 심우주 지배권 확보 노력에 한몫을 하고 있다. 몇 해 전부터 중국이 핵추진 로켓을 연구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미국도 마냥 손 놓고 있기 어려운 처지다.
차기 미국 행정부가 같은 정책을 지속할지는 의문이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우주군을 ‘가디언즈’라고 부르며 유지할 의사를 밝힌 바 있어서 SPD-6의 지속 가능성도 엿보인다.
(1097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