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해양 산성화가 산호의 골격 형성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의심해 왔다. 하지만 따뜻해지는 해양 온도가 산호초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과 분리해서 그 사실을 증명하기란 매우 어려웠다.
그런데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WHOI)의 새로운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해양 산성화가 산호초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분명히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지구물리학회(AGU)가 발행하는 학술지 ‘지구물리학연구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 8월 27일 자에 발표됐다.
연구진이 포리테스속 산호초에서 샘플을 추출하고 있는 모습. © Richard Brooks, Lightning Strike Media Productions, Palau.
해양 산성화는 바닷물에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점차 산도가 강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현재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1/3은 바다에 흡수된다. 산업혁명 이전 표층 해수의 산도는 8.2로 예상되지만, 현재는 8.1로 0.1pH 단위만큼 산성화를 겪었다.
0.1 단위는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기 쉽지만, 이로 인해 바닷물에서 탄산 이온의 농도는 20% 감소됐다. 산호처럼 골격을 만들기 위해 탄산칼슘에 의존하는 해양 생물들은 바다의 pH가 계속 감소함에 따라 위험에 처해 있다. 해양 산성화가 인간의 뼈를 약화시키는 골다공증처럼 산호초의 골격을 조용히 약화시키고 있는 셈이다.
연구진은 오랫동안 형성된 돔 모양의 종인 포리테스속 산호의 골격에서 수집된 이전 자료와 함께 새로운 3차원 CT 스캔으로 인도-태평양 전역에 걸쳐서 발견되는 포리테스속 산호의 이미지를 조사했다.
해양 산성화 영향, 최초로 명확히 감지해
연구진은 1871년, 1901년, 197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산호 골격 자료에서 산호의 연간 성장 및 밀도를 확인했다. 또한 산호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산호초의 역사적 온도 변화 및 해수의 화학 데이터를 모델에 포함시켰다.
그 결과 1950년부터 해양 산성화로 인해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 있는 포리테스속 산호의 골밀도가 13% 감소되고, 남중국해에 있는 포리테스속 산호의 골밀도는 7% 감소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우즈홀해양연구소의 연구원들에 의해 개발된 혁신적인 수치 모델이 해양 온난화와는 별개로 해양 산성화가 산호 성장에 미치는 뚜렷한 영향을 밝혀낸 것이다.
호주에 있는 세계 최대 산호초 지대인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 게티이미지뱅크
웨이푸 궈(Weifu Guo) WHOI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해양 산성화가 산호초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명확히 감지했으며, 생화학적 과정에 의해 악화된 20세기 해양 산성화가 주요 산호초군의 성장에 측정 가능한 영향을 미쳤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호주 동해안에 있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는 약 2600㎞에 이르는 세계 최대의 산호초 지대이다.
이산화탄소의 방출이 전 세계적으로 해양 산성화의 가장 큰 원인이지만, 연구진은 육지에서 유출되는 하수가 그 영향을 악화시켜 해수 pH를 훨씬 더 감소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와 남중국해에서 산호의 골밀도가 감소한 것은 해양 산성화와 하수 유출이 결합되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육지에서 가까울수록 더 빨리 약해져
연구진은 이와 반대로 육지에서의 하수 유출 및 오염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피닉스제도와 중앙 태평양에 있는 포리테스속 산호들은 골밀도의 감소가 그리 크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육지에서의 하수 유출 및 오염은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간의 정착지에서 가까이 있는 산호초들이 멀리 떨어진 산호초들보다 더 빨리 약해지고 있는 셈이다.
이번 연구에 공동 저자로 참여한 안네 코헨(Anne Cohen) WHOI 연구원은 “문제는 산호초에서 골밀도가 정말 중요하다는 점이다. 그 힘이 바로 산호초들이 분열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기온 및 국지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더불어 이제 해양 산성화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많은 산호초들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웨이푸 궈 연구원은 “우리가 새로이 개발한 수치 모델은 해양 산성화가 전 세계 산호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다”고 말했다. 산호초 CT 스캔에 대한 전 세계적인 규모의 조사는 취약한 산호초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우즈홀해양연구소는 1930년에 설립된 이래 해양과 지구와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변화하는 지구 환경에서 해양의 역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요하는 많은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해양 산성화는 산호초를 비롯해 게, 조개, 바닷가재처럼 탄산칼슘으로 단단한 껍질을 만드는 해양 생물에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먹이사슬, 수산자원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429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