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해양 바이러스 중 하나인 ‘잉어 헤르페스바이러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미니항체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산업발전, 선박 대형화, 물동량 증가 등으로 잉어 헤르페스바이러스를 비롯한 감염성 해양바이러스로부터 유인된 각종 해양병원체도 국내 해역에 유입되고 있다.
이는 해양생물의 집단폐사로 이어질 수 있고 인류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위해성분석연구센터는 유전자 재조합 미니항체를 개발하고 이를 수산생물에 치명적인 잉어 헤르페스바이러스 검출에 적용했다.
코로나19 진단이나 감염병 진단에서 표준으로 활용되는 항체 기반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의 장점인 신속성과 현장성을 유지하되 핵산 기반 중합효소연쇄반응(PCR)기법의 장점인 정확성을 보완한 진단 기술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 연구는 해양과학기술원과 성균관대가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국제학술지(Fishes)에 발표됐다.
이택견 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2013년부터 감염성 해양바이러스의 모니터링, 프로파일링 및 진단기술 개발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이라며 “앞으로도 해류나 해외에서 유입되는 감염성 해양바이러스를 더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핵산 및 나노항체 기반의 진단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17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집고양이나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암고양이에게 한 번 주사하는 것으로 장기 불임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요법이 개발됐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