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온난화와 해수면 상승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저지대에 위치한 섬들이 가장 취약해 보인다. 사면이 둘러싸인 고립된 섬들은 금방 사라지지 않을까?
하지만 반대 현상이 나타나는 곳도 있다. 이상하게도 저지대 암초 섬들이 기후 변화의 계속되는 위기 속에서 바다에 가라 앉기는커녕, 더 크게 성장하는 것이다.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University of Auckland)의 연안 지질학자 머레이 포드(Murray Ford) 박사 연구팀은 지구물리학연구지(Geophysical Research Letters)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암초섬이 자란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포드 박사는 “과학자들의 예측이나 대중 매체 보도 또는 주장과는 달리, 최근 연구의 대상이 된 암초섬의 대다수가 20세기 중반 이후 안정적이거나 크기가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설명한다.
아일링글라플라프 환초 제(Jeh) 섬. 붉은 선은 1943년 경계이다. ©USDA
하지만 이 섬들은 어떻게 이렇게 물 위로 자랄 수 있었을까? 머레이 포드 연구팀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지구상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국가로 여겨지는 저지대 국가인 마셜 제도 공화국 아일링글라플라프 환초(Ailinglaplap Atoll)의 한 섬인 제 섬(Jeh Island)을 조사했다.
산호초 침전물이 섬을 자라게 해
마셜 제도 공화국은 29개의 산호초 환초로 구성돼 있다. 아일링글라플라프 환초는 56개 섬이 손을 잡고 커다랗고 가느다란 울타리를 치고 있는 섬이다. 이중 제 섬에는 40여 민가가 드문드문 살아가고 있다.
해수면 상승이 저지대 국가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것을 부인할 수 없지만, 작은 섬들에 대한 과학은 많은 사람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해 보인다. 포드 박사는 지난해 발표한 다른 연구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섬들이 물에 잠기리라는 예상은 지구가 정적인 지형이라는 가정하에 성립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가정은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2018년 709개의 섬을 아우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30개 산호 환초들을 분석한 결과, 이 섬들 중 88.6%가 최근 수십 년간 안정적이거나 면적이 증가했으며, 전체적으로 육지 면적을 잃은 섬은 한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평양에 있는 산호 환초 섬의 광범위하고 만성적인 침식은 없었다. 그렇지만 산호초 주변에 쌓인 퇴적물로 형성되는 이 섬들이 어떻게 그렇게 자라는지 완전히 알 수는 없었다.
몰디브의 한 산호초 섬 © 픽사베이
1900년 이후 세계 해수면이 약 20cm 상승했는데도 불구하고, 산호초 섬들이 가라앉지 않은 것은 섬이 성장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산호초 섬을 자라게 하는 침전물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산호초에서 갓 생산된 물질인가, 아니면 오래전에 생성된 모래가 씻겨 올라오고 있는 것일까?
포드 박사 연구팀은 제 섬의 항공 및 위성 사진을 비교하고, 새로 형성된 육지 샘플에서 섬 퇴적물을 수집했다.
원격감지 데이터를 보면 제 섬은 1943~2015 동안 2.02㎢에서 2.28㎢로 약 13%의 토지 면적이 증가했다. 게다가 한때는 여러 개의 섬이었다가 지금과 같이 하나의 섬으로 합쳐졌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2010년, 2015년, 2019년의 위성사진을 보면. 서쪽 끝으로 면적이 늘어나는 장면이 보인다. 섬 퇴적물을 방사성 탄소 연대기를 분석한 결과 28개 퇴적물은 1950년 이후에 축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포드 박사는 “해수면이 상승해도 침전물 생성을 통한 섬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섬에서 채취한 표본을 보면 섬의 새로운 부분은 예전 퇴적물이 섬에 다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암초에 의해 생산되는 유기물임을 알 수 있다. 연구자들은 같은 과정이 다른 섬에서도 작용하고 있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고 말하지만, 이 연구 결과는 해수면 상승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침전물 생산 체제를 갖춘 암초 시스템이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섬 생성 및 성장 모델 바뀔 듯
포드 박사는 “이 섬들을 둘러싼 산호초는 섬 성장의 엔진룸으로 섬 해안선을 자라게 하는 침전물을 생산한다”고 설명했다. 이 섬이 미래에도 계속 성장하려면 건강한 산호초가 필수적이다.
이 같은 현상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이며, 해수면 상승에 대응할 만큼 빠르게 일어날 수 있을까? 이렇게 자라는 섬들도 앞으로 가속화된 해수면 상승에 보조를 맞출 수 있을까?
56개 섬이 손을 잡고 있는 아일링글라플라프 환초. © 위키피디아
연구팀은 아직은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지만, 섬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기존 모델들을 수정해야 함을 암시하고 있다. 기존 모델에 따르면 섬은 생성되는 그대로 같은 형태를 갖추고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그 같은 섬 생성 모델의 수정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포드 박사 연구팀의 관측은 섬 형성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그중 하나는 현재의 섬들이 서로 다른 시기에 형성되었을 수 있으며, 나이가 다른 몇 개의 작은 섬들이 합쳐진 산물일 수 있다는 점이다.
(1253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