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00% 재생에너지로 바꾸면 30년간 일자리 144만개 늘어"
한국이 2050년까지 에너지 구조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면 일자리가 144만개 순증할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그린피스가 공개한 스탠퍼드·UC버클리 대학 공동연구팀의 ‘한국에서 그린뉴딜 에너지 정책이 전력공급 안정화와 비용, 일자리, 건강, 기후에 미칠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이 2050년까지 에너지 구조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경우 일자리 144만개 이상이 순증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는 미국 에너지정보국의 전 세계 에너지 수요 예측치를 기초해 2050년 에너지 수요를 예측한 뒤 이를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할 경우 생기는 에너지 수요 감소와 건강 영향, 기후 영향을 계산해 경제·에너지·보건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추산했다.
재생에너지 설비 규모는 2050년 기준으로 육상이나 수상에 설치하는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가 479기가와트(GW), 해상 풍력 319GW, 관공서와 상업용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가 119GW 등이었다.
보고서는 이처럼 국내 에너지 수요를 100% 재생에너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약 1조9000억 달러(약 2100조원)의 비용이 필요하고 태양광 발전소 건설 등 필요한 면적도 한국 전체 국토의 6.5% 규모로 추산했다.
또 화석연료 산업이 쇠퇴하면서 약 18만 9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봤다.
그러나 이런 에너지 전환 비용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에너지를 판매하면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일자리도 재생에너지 시설 설치 등으로 건설 부문에서 74만3000개가 새로 생기고, 에너지 운영 부문에서 88만9000개가 생겨나 일자리 감소분을 반영해도 약 144만개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또 에너지 전환으로 대기 오염이 줄어들면서 조기 사망자가 연 9000명 감소하고, 이로 인한 보건 비용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에너지 사용량도 지금보다 크게 줄어들 것으로 봤다. 전기차 전환으로 석유 사용이 줄어들고 석탄·석유 정제 부문에서 에너지 사용량이 줄어들어서다.
에너지 사용량이 줄고 사용하는 에너지도 저비용인 만큼 2050년에는 민간부문 에너지 비용 지출이 지금보다 41%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마크 제이컵슨 스탠퍼드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사회 전 분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를 2030년까지 80%, 2050년까지 100% 청정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내연기관 차량 생산을 중단하고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시설은 새로 짓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이번 보고서를 토대로 기후위기 정책 제안서를 만들어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정의당에 전달했다.
이진선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총선 공약으로 아직 기후위기 정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실효성있는 기후위기 대응책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41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고온형 세라믹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니켈(Ni)의 양을 20분의 1로 줄이면서 안정성은 5배 이상, 발전 성능은 1.5배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화재 위험이 없는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주목받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 장치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세포 미세 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물질을 개발해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손상 경로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려는 기업들이 솔루션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AI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에서 전기차 급속 충전 실증에 착수했다.
정부가 신산업진출 목적으로 사업재편을 승인받은 중소·중견기업 중 10여개사를 선정해 올해 총 100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광주시, 경기도, 부산시가 참여하는 인공지능(AI)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사업이 닻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