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연구개발 비중(5%) 세계 2위, 연구원 비중 1위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예산은 꾸준히 증가, 작년에는 총 연구개발비 100조 원을 돌파했으며과기부 예산은 2023년 최초로 30조 원을 돌파했다. ⓒGettyImagesBank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공공 및 민간영역에서 수행된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조사·분석한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는 102조 1,352억원으로 전년(93.1조원)대비 9조 636억원(9.7%)이 증가해 처음으로 100조원 시대를 열게 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96%로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권 수준을 유지했다.
연구개발 단계별 연구개발비를 살펴보면, 기초연구에 15조 1,002억원(14.8%), 응용연구에 21조 4,704억원(21%), 개발연구에 65조 5,647억원을(64.2%) 투자한 것으로 나타나 개발연구를 중심으로 연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주요국 대비 기초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국(15.1%), 일본(12.3%)과 비슷하고, 프랑스(22.7%), 영국(18.3%)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2021년 우리나라의 총 연구원 수는 586,666명, 상근상당 연구원 수(FTE)는 470,728명으로 상근상당 연구원 수는 중국, 미국, 일본에 이은 세계 4위권(`20년: 5위) 으로 조사되었고, 경제활동 인구 천 명당 연구원은 16.7명,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는 9.1명으로 모두 세계 1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기업에서 수행한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살펴보면, 기업 전체에서 수행한 연구개발비는 80조 8,076억원(공공연구기관 12조원, 대학 9.3조원)으로 전체 연구 개발비의 79.1%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구인력은 429,465명(공공연구기관 42,566명, 대학 114.635명)으로 전체 연구원의 73.2%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매출액 상위 10개 기업의 경우 기업 전체 연구개발비의 47.1%, 기업 전체 연구원의 20.1%를 점유하고 있어 연구개발활동이 상위기업에 편중되어 있었고, 상위 10개 기업의 경우 연구개발비는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개발활동조사에 따르면 총 연구개발비는 조금씩 증가해 마침내 2021년 100조 원을 돌파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해당 조사는 연구개발활동을 수행 중인 공공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 총 73,326개 기관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구개발비 및 연구개발 인력 현황에 대해 경제협력개발기구 지침 (OECD 프라스카티 매뉴얼)에 따라 실시된 것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장한다.
과기정통부 내년 예산이 18조8686억원으로 확정됐다. 올해 18조5737억원보다 2949억원(1.59%) 증액된 것이다. 차세대 소형모듈 원자로(SMR)와 우주, 양자, 바이오 등 미래 기술 선점에 중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은 30조 7000억원으로 처음 30조원을 넘겼다.
과기정통부는 24일 2023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이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예산은 우선 미래 혁신 기술 선점이 집중 투자된다. 반도체나 양자, 바이오, 우주 등에 대한 투자는 2조 2000억원으로 올해 대비 14.2% 증액했다. 올해 41억원이 투입됐던 인공지능(AI) 반도체 실증지원 사업을 내년 125억원으로, 양자컴퓨팅 연구인프라 구축에 올해 100억원에서 내년 120억원으로 끌어 올린다.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역시 올해 264억원에서 내년 675억원으로 투입금을 늘린다.
이 밖에 우주항공청 설립 추진에 내년 14억원, 뇌과학선도융합기술 개발에 68억원, 소재 혁신 양자시뮬레이터 개발에 76억원을 투입하는 등 신규 사업도 대폭 늘렸다.
2023년도 과기부 예산은 처음으로 30조 원을 넘어섰으며, AI와 반도체 등 미래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GettyImagesBank
인재양성과 기초연구 지원도 늘린다. 전체 예산은 7조 8000억원으로 올해 대비 6.6% 늘었다. 디지털플랫폼정부 구축을 통한 디지털 혁신 전면화에 1조 9000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대비 10.4% 증가한 것이다. 또 탄소중립 실현 등을 위한 ‘모두가 행복한 기술확산’ 분야에는 6조 7000억원을 투자한다. 올해 대비 10.5% 증가한 것이다. 디지털배움터 운영 확대, 치안과 소방, 복지 등 현장의 사회문제 등에 쓰일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2023년도 예산은 국정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기틀을 닦고, 전 세계적인 기술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국가전략기술을 확보하는데 사용될 것”이라며 “기술개발의 성과가 어려운 경제상황 극복과 사회문제해결에 기여하는 혁신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 예산을 포함한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은 30조 7000억원이다. 올해 29조8000억원에서 9000억원 증액된 것이다. 처음 30조원을 돌파했다. 우주, 반도체, 인공지능, 양자, 이차전지, 첨단바이오, 차세대원전 등 혁신을 선도하는 초격차 기술과 미래도전적 기술에 중점 투자한다. 청정에너지, 저탄소 생태계, 자원순환 등에 대한 기술혁신을 지원하고, 산업과 공공 분야의 디지털전환 촉진 및 미래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47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정부가 2025년까지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5건을 제정하고 국제표준 30건을 제안하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2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선팰리스호텔에서 자율주행차의 산업 활성화와 표준화 추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업계·관계기관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의 사업화 안내를 위해 지난달 말 자율주행차 표준화 추진 전략 초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표원은
/ 약물 반응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인공신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 조동우·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사구체 혈관세포와 지족세포층, 사구체기적막층을 포함한 사구체 미세혈관 칩(인공신장)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신장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 등을 소변으로 배설함으로써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관이고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가장 먼저 일으키는 기관이기도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혈관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이 콧속 혈관·림프관의 3차원 정밀지도를 완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코는 후각을 담당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으로, 외부 공기를 데우고 습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비강(鼻腔)의 점막은 외부 병원균·이물질을 막아주는 최초 면역 장벽 기능도 수행한다. 다만 비강 내 복잡한 구조 때문에
/ 국세청이 챗GPT와 같은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세무상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한다. 국세청 대표 서비스인 홈택스를 ‘지능형 홈택스’로 고도화해 세금 신고·납부 과정에서의 납세자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국세청은 22일 서울지방국세청에서 2023년도 제1차 국세행정개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디지털 혁신, 복지세정, 국세행정 운영 방향 등을 논의했다. 국세행정개혁위원회는 모범 납세자와 각계 전문가
/ 이산화탄소를 고순도 기체로 포집하는 공정을 없애 경제성을 높인 새로운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공정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웅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원다혜 선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액상 흡수제에 기체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바로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해 고부가가치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액상 흡수제를 활용하는 CCUS 공정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다음 다시 고순도 기체로
/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이래 3개월여만에 ‘블루 아카이브’를 비롯한 한국산 게임에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2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게임을 포함한 27종의 외국산 게임 수입을 허가했다고 공지했다. 중국은 심의를 거친 자국 게임사 게임에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사 게임에는 ‘외자판호’를 발급해 서비스를
/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마침내 한국에 상륙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현대카드는 21일 오전부터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폰과 현대카드를 보유한 이용자는 호환 단말기를 보유한 매장에서 카드 실물 없이 휴대전화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당초 양사는 이달 초를 서비스 개시 목표일로 삼았으나 호환 단말기 보급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