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혁신도시에 본사를 둔 한국남동발전은 전국에 산재한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하나의 가상발전소(VPP)로 통합 관리해 운영하는 ‘분산형 전원 디지털 플랫폼 사업’ 개발에 나섰다고 11일 밝혔다.
남동발전은 디지털전략처와 신재생사업처를 중심으로 분산형 전원 플랫폼 구축 추진단을 발족하고, 단계별 플랫폼 비즈니스 추진을 위한 5개년 계획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남동발전은 첫 단계로 자체 운영 중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활용, 가상발전소 사업모델을 연내에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남동발전은 공기업 최초로 2.55MW의 소규모 전력중개자원을 등록한 데 이어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할 수 있는 관제 인프라를 전문 운영센터에 구축해 가상발전소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두 번째 단계로 내년부터 적은 용량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가진 국민들을 모집한다.
이를 통해 국내 태양광 용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1MW 이하의 소규모 태양광 자원을 집약해 분산된 소규모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남동발전은 2025년까지 4000억원을 투자해 소규모 분산자원을 4GW까지 확보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 3만2000명의 고용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남동발전은 전망한다.
마지막 단계로 태양광 기자재 도소매 시스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등 총 7개 부문의 핵심 서비스를 선정하고 단계적 파생사업의 확장을 통해 플랫폼 네트워크를 견고하게 해나갈 예정이다.
남동발전은 플랫폼 비즈니스 5개년 계획이 마무리되면 태양광을 포함한 모든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사업개발부터 중개 거래, 발전소 매매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 운영해 국가 재생에너지의 보급 레벨을 세계수준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향열 한국남동발전 사장은 “분산형 전력시장의 생존 여부는 신재생단지 보유가 아닌 전력 플랫폼 비즈니스 선점에 달려있다”며 “우리가 개발하는 가상발전소 등 분산형 전원 종합 플랫폼을 통해 국가 신재생 시장과 산업생태계를 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18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