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6일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힌 '수소탄'의 폭발력은 어느 정도일까.
국가정보원은 이날 "지난번 3차 핵실험(위력)은 7.9㏏, 지진파 규모는 4.9가 나왔는데, 이번에는 (위력이) 6.0㏏, 지진파는 4.8로 더 작게 나왔다"면서 "수소폭탄은 (위력이) 수백t이 돼야 하고 실패해도 수십t이 돼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전문가도 이번 핵실험의 폭발력에 대해 "기상청에서 (인공지진의 규모를) 4.8 정도로 본다"면서 "3차 핵실험 때 4.9, 2차 핵실험 때 4.5였던 점으로 미뤄 2차와 3차 사이쯤 된다"고 추정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폭발력을 TNT 양으로 환산할 경우, 2차 핵실험 때 3~4kt, 3차 핵실험 때 6~7kt였던 점을 감안하면 규모가 3차에 비해 0.1 작아 에너지의 양 역시 70% 안팎으로 축소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1945년 8월 일본 히로시마에 폭발력 16kt의 원폭을, 나가사키에는 21kt의 원폭을 각각 투하한 바 있다.
군 전문가는 "북한이 주장하는 대로 수소탄(수소폭탄)이라면 수소폭탄의 폭발력이 원자탄 100∼1천배 규모"라면서 "그 정도는 북한 지역에서 실험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미국이 대륙이 아닌 태평양에서, 러시아는 시베리아 내륙에서 수소폭탄 실험을 한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북핵 전문가는 "증폭핵분열탄은 3중수소와 중수소 등을 원폭에 넣어 터뜨리면서 핵융합이 일어나게 하는데 규모가 원폭의 2-5배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소가 들어간 핵실험이었다면 상당히 수준이 떨어지는 거 아니냐"며 북한의 수소폭탄 실험 성공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한편, 이 날 북한에서 감지된 인공지진과 관련해서는 국가나 기관마다 서로 다른 지진 규모를 내놓았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지질조사국(USGS) 등은 지진규모를 5.1까지 추정했다.
일부에서는 북한의 주장대로 완전한 수소폭탄을 개발했다기보다는 그 전단계인 증폭핵분열탄 실험을 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6-01-0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