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은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인 제주도롱뇽이 예년보다 빨리 겨울잠에서 깨어나 산란한 모습을 포착했다고 12일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지난달 10일 서귀포시 한남리 습지에서 산란 후 알을 지키는 제주도롱뇽을 발견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08년부터 조사한 제주도롱뇽 산란 시기는 일반적으로 1월 말∼2월 초였다.
2011년에는 2월 26일 산란해 가장 늦었다.
올해는 2011년보다 한 달 반이나 일찍 산란한 것이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포근한 이번 겨울 기온이 이른 산란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정수영 박사는 "수목의 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 생체시계 변화를 꾸준히 관찰할 계획"이라며 "기후변화에 취약한 멸종위기종의 서식처 환경 보전을 위해서도 다각도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도롱뇽은 제주도, 진도, 거제도 등 서남해안의 섬과 반도에서 주로 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0-02-1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