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운동이 건강에 좋고, 건강하면 심장병 위험을 낮추고 오래 사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데 신체 활동을 얼마나 어떻게 하면 우리 몸의 건강 수준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미국 하버드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과 보스턴대, 밴더빌트대 의학자들이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주요 사항들을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심혈관 질환 관여 요인을 식별하기 위해 설계된 장기 연구인 ‘프레이밍햄 심장 연구(Framingham Heart Study)’ 참가자 2,070명을 대상으로 심폐 건강, 즉 신체 활동 중 신체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는 심장과 폐의 능력을 조사했다.
참가자들은 일주일 동안 신체 활동 추적기를 달고 운동 중 신체 상태에 변화를 주는 생리학적 매개변수 테스트를 받았다. 그리고 약 8년 뒤에 같은 조사를 받았다.
활발하게 많이 움직일수록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맨발로 해변을 뛰고 있는 모습. © WikiCommons / Raquel Baranow
활동 많고 앉아있는 시간 줄이면 심폐 건강 개선
이 분석에서 연구팀은 하루 중 걸음 수를 늘리거나, 중간에서 고강도까지(moderate-to-vigorous)의 운동을 더 많이 하거나, 두 가지 시험 사이에서 앉아있는 시간을 줄인 사람들이 웜업에서부터 최대 운동 및 회복 운동에 이르는 전체 운동 세션을 통해 심폐 건강 측면에서 뚜렷하게 개선을 보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같은 결과는 참가자의 기본 활동 수준이나 연령, 성별, 체중 및 심장병 위험과 관계없이 대체로 일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인 ‘중간에서 고강도까지’의 운동을 1분 늘릴 때마다 피트니스의 동등한 변화를 위해서는 중간 보조 걷기를 3분 이상 하거나, 앉아있는 시간을 14.6분 이내로 줄이는 것이 필요했다.
또한 하루에 중간-고강도 운동을 17분까지 늘리거나, 추가로 4,312보를 걷는 것(분당 80보씩 약 54분 걷기) 또는 두 가지 시험 사이에 하루 중 앉아있는 시간을 249분 줄이는 것은 최대 산소 흡입량을 5% 늘리는 것과 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식 생활을 많이 하는 현대인에게 활발한 신체 활동과 운동은 심장병을 예방하는 초석이다. © WikiCommons / Bill Branson
많이 걷거나, 중간-고강도 운동 많이 하면 산소 흡입량 증가
이와 함께 연구 참가자 가운데 걸음 수가 평균보다 많거나, 평균 중간-고강도 운동량보다 더 많이 운동하는 사람들은 하루에 앉아있는 시간이 얼마나 많은가에 상관없이 평균 최대 흡입 산소량(VO2)을 웃돌았다.
MGH 심폐운동검사실장이자 심부전 및 심장이식 프로그램 책임자인 그레고리 루이스(Gregory D. Lewis) 박사는 “심폐운동검사를 통한 객관적 측정으로 좌식 활동과 저강도 운동 및 중간-고강도 운동 변화가 운동 능력의 여러 영역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번 분석을 수행했다”고 말했다.
루이스 박사는 “이번 조사 결과는 얼마나 많이 앉아있는 시간을 줄이고, 걷고, 중간-고강도 운동을 하는 것이 운동 능력의 변화로 이어지며, 이는 다시 장기적인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강력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고 덧붙였다.
‘유럽 심장 저널’에 발표된 논문 © Oxford University Press / European Heart Journal
논문 제1 저자인 보스턴대 의료원 심혈관 의학 및 예방의학부 아람 초바니안(Aram Chobanian) 조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가장 놀라운 발견은 하루에 평균 이상 더 많이 걷거나 중간-고강도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오랫동안 앉아있느냐에 상관없이 평균 이상의 체력(fitness) 수준을 보였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것은 앉아있을 때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많은 부분이 높은 수준의 신체 활동과 운동으로 상쇄될 수 있음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논문 공저자이자 밴더빌트대 심장학 임상 및 중개 연구 책임자 라비 샤(Ravi Shah) 박사는 “신체 활동은 현대의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초석”이라고 강조하고, “이번 연구 결과는 전반적인 심장대사 건강을 증진하는 수단으로서 신체 활동을 개선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을 뒷받침해준다”고 평가했다.
(595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제2형 당뇨병을 가진 성인 환자 3명 가운데 1명은 심혈관질환 증상이나 징후가 없더라도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감압점착제에 온도 반응성을 부여해 고온에서 쉽고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일 밝혔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우리나라 성인의 중증 우울증 유병률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1일 나왔다.
환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양전자 단층 촬영(PET)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인공 세포 안에 유전질환 치료 물질을 담은 채 인체에 침투한 뒤 치료 물질을 인체 세포에 전달하는 유전자 치료용 인공 바이러스 벡터(AVV)가 개발됐다. 미국 워싱턴DC 미국가톨릭대 베니갈라 라오 교수팀은 31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표면을 지질(lipid)로 감싼 박테리오파지 T4를 이용해 만든 인공 바이러스 벡터(T4-AAV)로 유전자 치료 물질을 인간 세포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는 자손을 빠르게 복제하고 조립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생물학적 기계라며 치료 물질을 전달하도록 프로그래밍한 인공 바이러스 벡터를 만들어 인체에 침투시키면 질병 치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만은 다양한 정신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의 내과 전문의 미하엘 로이트너 교수 연구팀이 전국 입원 치료 환자의 데이터세트(1997~2014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31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비만 진단 후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우울증, 니코틴 중독, 정신병증(psychosis), 불안장애, 식이장애(eating disorder),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등 광범위한 정신장애 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정상 일대 날씨 변동이 극심해지면서 에베레스트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해로도 기록될 전망이라고 3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보도했다. 히말라야 등정 관련 기록을 정리하는 '히말라야 데이터베이스'와 네팔 당국에 따르면 올해 봄철 등반 시즌에 에베레스트 원정에 나선 산악인 가운데 17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날씨 변덕이 심해진 것이 사망자가 늘어난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