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심재율 객원기자
2021-05-11

파스타의 변신, 끓여야 제 모습 찾아 포장재 대폭 줄여 환경보호에 기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국수와는 달리 파스타는 모양이 매우 다양하다. 국수처럼 긴 것은 스파게티라고 하지만, 끝부분이 펜 같이 뾰족한 튜브모양의 펜네(penne)를 비롯해서, 원통 모양의 토르틸리오니(tortiglioni), 구불구불한 튜브 모양의 마카로니 등이 있다.

스프링같이 생긴 푸질리(fusilli), 나비 모양의 파르팔레(farfalle), 조개같이 생긴 콘킬리에 (conchiglie)는 일일이 이름을 외기도 버거운 다양한 모양이 이탈리아 요리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파스타가 국수와는 달리 이같이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것은 단단한 세몰리나 밀가루(semolina flour)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한 장의 사진으로 편집한 파스타의 변신 과정 ⓒMorphing Matter Lab. Carnegie Mellon University

이같이 재미있는 모양이 파스타를 더욱 유명한 요리로 만들어준다. 그러나 스파게티를 제외하고 다른 파스타는 포장해서 이동하려면 부피가 많이 들어간다.

카네기멜론 대학의 모핑매터랩(Morphing Matter Lab)은 평소에는 납작한 모습이지만, 요리하기 위해 물에 넣어 끓이면 다양한 모습으로 변하는 ‘변신 파스타’를 개발하고 있다.

평평한 파스타에 작은 홈 파 넣어

세몰리나 밀가루로 만든 파스타 반죽에 작은 홈을 만들어준다. 이 홈의 형태에 따라 파스타 반죽은 요리하면 튜브, 나선형, 비틀림, 파동 등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요리 전에는 평평한 모양이었지만 일단 요리를 하면 전통적인 파스타처럼 보이고, 느낌을 주며, 물론 가장 중요한 맛도 똑같다.

납작한 파스타의 어느 부분에 어떻게 홈을 파느냐에 따라 요리 시간이 달라진다. 단순히 홈을 파는데 그치지 않고 홈 파는 위치와 크기를 신중하게 시뮬레이션해서 정한다.

이 프로젝트의 모델링 분석을 이끈 시라큐스 대학의 텡 장(Teng Zhang)교수는 "파스타 반죽의 홈을 판 부분은 요리를 하면 매끄러운 면보다 덜 늘어나기 때문에 파스타가 모양을 이루게 된다"라고 말했다.

변신 파스타는 음식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납작하기 때문에 포장을 대폭 줄여주므로 저장과 운송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한다. 과학자들은 변신 파스타가 요리에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를 줄여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모핑매터랩의 리닝 야오(Lining Yao) 소장은 "납작하게 포장된 가구가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운반을 쉽게 해서 탄소배출을 줄이는데 기여하는 것을 보고 영감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그동안 개발하던 변신 기술을 응용해서 평평했다가 변형되는 파스타를 만들게 됐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저널 5월호의 커버스토리로 소개됐다.

효과적인 식품 포장을 만드는 것은 쓰레기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 납작하게 포장된 파스타는 필요한 포장을 줄이는 동시에 배송과 보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평평한 파스타(위)가 변신한 모습 (아래) ⓒ Morphing Matter Lab. Carnegie Mellon University

식품 포장은 쓰레기 매립장매립지을 차지하는 주요 쓰레기 중 하나이다. 미국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식품 포장이 모든 고체 소비자 폐기물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파스타를 납작하게 포장하면 펜네와 후질리의 나선형 같은 다양한 모양의 파스타에 포함된 모든 공기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파스타 포장을 최대 60%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변신하는 파스타는 요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낮출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의 약 1%가 파스타를 요리하는 과정에서 나온다. 납작한 파스타는 튜브 모양의 파스타보다 더 빨리 요리될 수 있음으로, 요리하는 동안 온실가스 배출에도 도움을 준다.

식품 포장 쓰레기 크게 줄일 수 있어

이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낸 예 타오(Ye Tao)는 하이킹을 떠나면서 이 납작하게 포장된 파스타를 가지고 갔다. 그랬더니 배낭에서 파스타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었고, 하이킹 동안 부서지지도 않았으며 성공적으로 요리해서 먹었다.

모핑매터랩은 지금까지 플라스틱, 고무, 직물, 식품에 이르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수년간 모양이 변신하는 기술과 응용방안을 연구해왔다.

https://youtu.be/AAb0v-FPIuQ

변신 파스타는 사람들이 어떻게 음식을 요리하고 소비하는지 다시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파티를 빛내 줄 장식적인 꽃 모양과 같은 훨씬 더 창의적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변신 파스타는 재난 현장에 신속하게 배치될 수 있고 우주여행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약물 전달에서 진단 바이오 센서에 이르기까지 의학 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가진 3D 프린팅 하이드로겔과 같은 다른 유용한 재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심재율 객원기자
저작권자 2021-05-11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