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진화에는 가능한 것이 있고 불가능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오늘날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들은 가장 가능성 있는 경로를 따라 진화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우연한 돌연변이로 인해 새로운 진화의 길로 들어섰지만 진화의 지속성이 불가능할 경우에 그 생물종은 도태된다. 그러면 진화에서 가능한 경로와 불가능한 경로는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일본 도쿄대 연구팀은 자연 진화에서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불가능한지는 이론물리학의 모델과 계산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연구를 미국물리학회 기관지 ‘물리학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5월 26일 자에 발표했다.
적당한 환경 노이즈 수준에서 환경에 강하고 민감한 유기체가 진화할 수 있다. ⓒ Wikimedia
질서 있는 낮은 차원
이론적으로 살아있는 모든 유기체의 전체 화학적 구성 성분은 독립적으로 다 다를 수 있다. 연구팀은 이를 ‘높은 차원(high dimensionality)’이라고 지칭한다.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 진화는 가능한 결과를 모두 생성해 내지는 않는다.
전문가들은 지속적으로 유기체들이 낮은 차원에 국한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얘기를 해 왔다. 이는 유기체의 필수 구성요소가 상호 연결돼 있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어떤 하나가 증가하면, 다른 하나는 감소하는 것이다.
논문 시니어 저자이자 도쿄대 복잡 시스템 생물학 연구센터 이론 생물학자인 구니히토 가네코(Kunihiko Kaneko) 교수는 “박테리아는 수천 종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다른 환경에서 수천 개의 차원 점(dimensional points)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환경과 관계없이 박테리아 변이가 1차원 곡선 혹은 저차원 표면에 적합하다는 것을 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런 낮은 차원성을 설명하기 위해 자연 세계를 이상적인 물리 모델에 맞게 단순화하고, 생물학적 복잡성 안에 어떤 수학적 구조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했다.
이들은 오랫동안 통계 물리 모델을 활용해 어떤 물질이 비자성(nonmagnetic) 상태에서 자성 상태로 전이되는 것을 특성화해 왔다.
이 모델들은 자석에 있는 회전하는 전자의 단순화된 표현을 사용한다. 만약 스핀이 정렬되면 스핀 앙상블은 질서 있는 자성 배열을 나타낸다. 반대로 스핀이 정렬 상태를 잃으면 무질서하며 비자성인 상태로 전환된다.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된 논문. ⓒ Physical Review Letters / APS
연구팀의 생물학 모델에서는 스핀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대신 유전자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표현된다.
논문 제1저자인 도쿄대 통계 수학 연구소 아야카 사카다(Ayaka Sakata) 부교수는 “우리는 동일한 방법을 이 실험에 적용해, 무질서한 고차원 상태로부터 질서 있는 낮은 차원으로 옮겨가는데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를 관찰했다”고 밝혔다.
“적당한 환경 노이즈 아래에서 유기체 진화”
이런 통계 물리 모델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배경 노이즈(noise)로서, 이는 고요하고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시끄럽고 완전히 압도적인 힘을 가진 고유의 예측불가능한 수준을 말한다.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노이즈는 유전자 발현 방식을 바꿀 수 있는 작은 환경적 변이를 나타내 쌍둥이나 복제되는 식물처럼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유기체들 사이에서 다른 유전자 발현 패턴을 유발한다.
21개의 파란색 점과 13개의 아쿠아색 선으로 구성된 노란색 캐머마일 꽃머리 나선형에서 피보나치 숫자를 나타낸 그림. 이 같은 배열은 중세 이래로 주목을 받아 다양한 식물의 수학적 모델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오늘날 수학 및 이론 생물학, 생물물리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 Wikimedia / Mother_and_daughter.jpg
연구팀의 수학 모델에서 환경 노이즈의 양을 변경하자 진화적 복잡성의 차원 수가 변화됐다.
낮은 환경 노이즈 아래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한 수백 개 유전자의 진화는 높은 차원성의, 조직화된 변화 없이 너무 많은 방식으로 변화한 가지각색의 유전자 발현을 초래했다.
이에 비해 높은 수준의 환경 노이즈 아래에서 시뮬레이션된 진화는 유전자 발현이 무작위로 변화하는 높은 가변성을 나타냈다. 이는 유전자 발현에 어떤 조직화나 기능적 상태가 없음을 의미한다.
가네코 교수는 “우리는 위와 같은 극한적인 노이즈 조건에 있는 유기체들은 진화적으로 적합지 않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으며, 이 유기체들은 환경 변화에 반응할 수 없기 때문에 멸종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 노이즈가 적당한 수준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된 유전자 수백 개의 진화는, 실생활에서 보듯 유전자 발현에서의 변화가 1차원 곡선을 따르는 모델로 나타났다.
가네코 교수는 “적당한 환경 노이즈 수준에서 환경에 강하고 민감한 유기체가 진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1232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8∼22일 '2022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린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페스티벌 어스(Festival Earth)'로,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을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주제전시와 과학강연, 과학기술 성과전시 등으로 구성됐다. 19일 오후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이 반도체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장(腸)에 사는 세균은 종종 장의 벽(gut barrier)을 넘어서 다른 기관을 침범하기도 한다. 이런 장 세균이 면역계를 자극하면 해당 기관에 심한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염증 질환에서 이런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장의 미생물 총에서 어떤 세균이 이런 행동을 하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이런 세균을 정확히 확인해 제거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시더스-시나이(Cedars-Sinai) 메디컬 센터 과학자들이 획기적인 항체 반응 검사법을 개발했다.
눌어붙지 않는 프라이팬이나 일회용 컵의 방수코팅제 등으로 일상 용품 속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불화화합물'(PFAS)은 환경과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돼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로 불린다. 초고온에서 소각해도 연기에 섞여 대기로 유출되고 물로도 희석이 안 되는 데다 땅에 묻어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침출되는 등 뾰족한 처리 방법 없이 심각한 건강상의 위협을 제기해왔는데, 이를 저비용으로 쉽게 분해하는 방법이 개발돼 주목을 받고있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 중 태양계를 벗어나 가장 멀리, 가장 오래 비행 중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1, 2호가 이달 말과 내달 초 각각 우주탐사 만 45년을 넘어선다. 보이저호 '쌍둥이' 중 1977년 8월 20일에 먼저 발사된 보이저2호는 목성, 토성에 이어 천왕성과 해왕성까지 근접 탐사한 뒤 현재 지구에서 약 195억㎞ 떨어진 곳에서 시속 5만5천㎞로 비행하고 있다. 보이저1호는 시스템상의 문제로 보이저2호가 출발하고 보름여 뒤인 9월 5일 발사됐지만 더 빠른 궤도를 채택해 목성과 토성을 탐사한 뒤 현재 약 234억8천만㎞ 밖에서 시속 6만1천㎞로 성간우주를 헤쳐가고 있다.
서아프리카 연안에서 약 6천600만 년 전 공룡시대를 마감한 때와 비슷한 시점에 형성된 소행성 충돌구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지구과학 부교수 우이스딘 니컬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서아프리카 연안의 탄성파 자료에서 약 8.5㎞에 달하는 소행성 충돌구를 찾아낸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백악기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남미 대륙판이 분리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탄성파 반사 속도로 지질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우연히 충돌구를 확인했다.
2024년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 프로젝트 탈퇴를 선언한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건설할 우주정거장의 실물 모형을 공개했다고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모스크바 외곽에서 열린 한 군사 산업 전시회에서 새로운 우주정거장 모형을 선보였다. 러시아 국영매체는 이 모형을 '로스'(Ross)라고 불렀다. 새로운 우주정거장은 2단계로 발사될 예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남극 앞바다의 기후 변화가 태평양 수온과 열대 지역 비구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했다. 16일 UNIST에 따르면 도시환경공학과 강사라 교수 연구팀은 기후 모델(Climate Mode) 실험으로 남극 앞바다의 냉각이 적도 태평양의 수온을 낮춘다는 내용을 입증했다. 특히 남극 앞바다의 온도와 열대강우(비구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밝혔다. 남극 앞바다가 차가워지면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고, 그 영향으로 열대강우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