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천문 관측 사상 최초로 성간 천체인 ‘오무아무아(ʻOumuamua)’를 발견했고, 이어 2019년에는 두 번째로 ‘2I/보리소프(Borisov)’ 혜성을 발견해서 외계 천체 탐사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성간 천체(Interstellar object, ISO)는 태양계가 아닌 다른 행성계에서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커서 탐사할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갑자기 나타나서 빠른 속도로 태양계를 스쳐 가며, 한 번 지나간 뒤에는 다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탐사선을 보내기 어렵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혁신적인 항공우주 분야 연구를 지원하는 ‘혁신 고급 개념(NASA Institute for Advanced Concepts, NIAC)’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2020년도 NIAC 1단계 지원 사업으로 선정된 한 연구 프로젝트는 성간 천체를 직접 탐사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그 비결은 다름 아닌 ‘태양 중력’을 활용하는 것이다.
최초로 확인된 성간 천체(ISO) ‘오무아무아’ 상상도. ⓒ ESO/M. Kornmesser
매사추세츠공대(MIT)의 리처드 리나레스(Richard Linares) 항공우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성간 천체와 랑데부를 위한 동적 궤도 슬링샷 (Dynamic Orbital Slingshot for Rendezvous with Interstellar Objects)’이라는 연구 주제로 NIAC 지원을 받게 됐다.
여기서 쓰인 슬링샷의 정확한 명칭은 ‘중력 슬링샷(Gravitational slingshot)’이다. 슬링샷이란 주로 새총을 뜻하는 단어지만, 자동차 경주에서 레이싱카들이 코너를 미끄러지듯 돌며 가속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또한, 항공우주학에서 질량이 큰 천체의 중력을 이용해 가속하는 ‘중력 도움(Gravity assist)’ 항법의 다른 표현이다. 야구 배트를 휘두르는 스윙과 비슷하다고 하여 ‘스윙바이(Swing-by)’라고도 부른다.
태양계 외곽에 배치한 여러 큐브샛 중에서 성간 천체와 랑데부할 수 있는 탐사선을 골라 태양 쪽으로 자유 낙하시킨다. ⓒ MIT
솔라세일과 태양 슬링샷을 이용한 성간 천체 탐사선
리나레스 교수는 “지구에서 성간 천체를 관찰하는 데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태양빛이 성간 천체를 제대로 비춰야만 망원경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면서 “성간 천체는 너무 빨리 움직여서 태양계를 지나치기 전에 탐사선을 보낼 시간적 여유가 적다. 설령 지구에서 탐사선을 발사하더라도 빠르게 가속해야 하지만, 현재의 추진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라고 성간 천체 탐사가 어려운 이유를 밝혔다.
MIT 연구팀이 제시한 대안은 솔라세일(solar sail)을 이용한 ‘정지 위성(static satellites)’이다. 먼저 태양계 외곽에 여러 대의 작은 탐사선을 빙 둘러 띄워놓고 정지궤도위성처럼 제자리에 멈춰 있도록 한다. 중력에 이끌려 태양 쪽으로 움직이는 것은 표면적이 큰 솔라세일로 추진력을 얻어 상쇄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성간 천체가 발견될 때까지 기다리며 언제든 출격할 태세를 갖추게 된다.
만약 성간 천체를 발견하면 적당한 위치의 탐사선을 골라 태양 쪽으로 자유 낙하시킨다. 그러면 연료 없이도 태양의 강력한 중력에 의해 점차 가속할 수 있다. 자유 낙하 궤도는 솔라세일을 범선의 돛처럼 이용해서 성간 천체와 만나는 코스로 조절하고, 태양을 지나친 뒤에는 다시 솔라세일로 추진력을 얻어 성간 천체를 따라잡는다는 발상이다.
태양을 공전하지 않고도 솔라세일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 NASA
연구팀은 중력 슬링샷으로 성간 천체에 도달한 탐사선이 장기간 랑데부를 유지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가급적 오래 머무를수록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리나레스 교수는 “목표물을 그냥 지나치는 플라이바이(Flyby) 미션은 속도를 늦출 필요가 없어서 비교적 쉬운 편이다. 그러나 목표물과 랑데부하려면 가속이나 감속해서 두 물체의 상대 속도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더 어렵다”라면서 아직 풀어야 할 난관이 있다고 밝혔다.
같은 MIT 항공우주학과의 올리비에 드 웩(Olivier de Weck)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서 “우리가 태양에서 얻는 두 가지 주요 요소인 중력과 방사선을 이용한 전례 없는 방식으로 성간 천체를 탐사할 수 있어서 기대된다”라고 평가했다.
(168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