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연, 태양광 전극 보호막 기술 개발…인공광합성 기술에도 활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탄소 배출 없이 태양광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전극 보호막’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그린 수소는 신재생 에너지 등을 이용해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하는 수소를 일컫는데,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는 전극을 물에 담근 후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다만 태양광과 물에 의해 전극이 쉽게 부식되는데, 이를 방지하려고 보호막을 씌우면 전기 전도율이 떨어지고 수소 생산 효율도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태양광 전극 보호막에 주로 쓰이는 이산화타이타늄 등 산화물 소재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지만, 보호막 제조 공정에서 전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산소 결함(defect)이 형성되면 물 분해를 할 수 있다.
KRISS는 이번에 이산화타이타늄 보호막의 산소 결함 양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산소 결함 양에 따라 전하가 이동하는 원리를 규명하고, 광전극의 수명 연장과 수소 생산에 최적화된 결함 양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연구들이 보호막 제조 공정상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산소 결함에 의존한 것과 달리 이번 연구에서는 산소 결함의 양을 의도한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생산방식을 제안한 것이다.
산업계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공정을 활용해 양산할 수 있는 방식이다.
보호막 없는 광전극은 1시간 이내에 수명이 급격히 저하돼 수소 생산 효율이 초기 대비 20% 미만으로 감소했지만, 수소 생산에 최적화된 보호막을 씌운 광전극은 100시간 후에도 85% 이상 성능을 유지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KRISS 소재융합측정연구소 김안순 책임연구원은 “그린 수소 실용화를 앞당길 핵심 기술로, 태양광 전극을 사용하는 다른 청정 기술에도 응용할 수 있다”며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태양광을 이용해 화학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인공 광합성 기술이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190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