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연계기사] GIST 박지환 교수와 안현수 학생은 어떤 연구를 했을까?
코로나19 후유증, AI가 치료제의 길을 열었다. ©GettyImagesBank
지난 3월 25일 사이언스타임즈는 GIST의 박지환 교수와 안현수 학생을 대상으로 단독인터뷰 기사를 게재한 바 있다.(https://www.sciencetimes.co.kr/news/단독인터뷰–배운–지식은–사람들을–위해–코로나1/)
박지환 교수와 안현수 학생을 포함한 연구팀은 인공지능(AI) 기술인 ‘머신러닝’을 통해 코로나19 감염경험자 대다수가 겪는 코로나19 후유증의 원인이 ‘자가면역반응’임을 밝혀냈다. 그동안 코로나19 후유증의 원인으로 자가면역반응이 수차례 제시되었으나, 그 인과관계와 원리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뿐만 아니라 후유증의 원인이 되는 후보 단백질까지 추려냄으로써 코로나19 후유증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해당 연구결과는 지난 2월 28일 생물정보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Briefings in Bioinformatics’에 게재되었다.
외부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침입하면 우리 몸에서는 이에 대항하는 ‘항체’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 항체가 면역체계의 혼란으로 인해 공격해야 할 세균과 바이러스가 아닌, 우리 몸의 세포를 공격하기도 하는데 이를 ‘자가면역반응’이라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자신과 구조가 유사한 인체 내 단백질을 우리 몸이 바이러스로 인식하고 공격하게끔 유발한다. 이러한 자가면역반응은 세포를 손상시켜 혈액을 응고시키기도 하고, 폐나 뇌줄기를 손상시켜 호흡부전을 일으키기도 한다. 코로나19 완치자 대다수에게서 보고되는 호흡곤란, 기침, 혈전, 가슴통증 등 다양한 후유증이 바이러스가 유발한 자가면역반응이라는 것이 수차례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단백질 구조가 유사한 인체 단백질을 찾는 것이 코로나19 후유증 치료의 핵심이다.
단백질은 20종류의 아미노산 수백 개 이상이 긴 사슬로 이어져 만들어진다. 이 아미노산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이리저리 접히는데, 그 덕에 단백질은 복잡한 3차원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는 단백질의 특성과 직결되는데, 접히는 데에 있어 변수가 너무 많아 입체구조 예측이 무척 어려웠다. 이제까지는 수백 개의 아미노산들이 서로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분자단위로 하나하나 계산하며 구조를 찾아가는 방식이었다.
단백질 같은 그림 찾기! 답은 기사의 하단에 – 코로나19바이러스 단백질과 인체 단백질에 구조가 비슷한 부분이 있는지, 찾을 수 있을까? ©ahs2202.github.io/3M
인공지능(AI) 기술인 ‘머신러닝(기계학습)’은 기존의 경험을 학습하여 이를 토대로 경험해보지 못한 것을 예측하는 기법이다. 즉, 이제까지 과학자들이 알아낸 단백질 구조를 학습시킴으로써, 새로운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해낼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구조가 유사한 인체 단백질을 예측할 수 있는 AI기반 프로그램 개발에 성공했다.
복잡한 구조를 예측하는 것 외에도, AI를 이용한 유사구조 단백질 찾기의 또다른 강점은 바로 ‘속도’다. 연구팀의 박지환 교수는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몇 달이 걸릴 분석을 누구나 단 며칠 만에 끝마칠 수 있는 분석 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AI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소요시간과 컴퓨터 프로세스를 함께 고려했을 때 기존보다 45배가량 효율적인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오미크론 변이를 포함한 모든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단백질 500만 개와 인체 단백질 2만 개를 비교하여, 인체 단백질 중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유사구조를 가진 단백질 800개를 추려냈다. 개발한 AI기반 프로그램이 수천만 개의 아미노산 구조들을 예측해낸 것이다. 심지어 구조 뿐 아니라, 바이러스와 구조가 비슷한 부위가 표면 가까이에 위치해있어 외부에서 감지하고 반응하기 쉬운지 아닌지까지 세심한 고려를 더했다.
연구팀은 추려낸 후보 단백질이 실제로 코로나19 환자의 폐 조직에서 크게 증가한 것을 관찰하는 데에 성공했다. 또한 자가면역반응이 폐에서 가장 많이 일어남을 알아냈으며, 이러한 관찰증명을 통해 코로나19 후유증의 원리와 치료 가능성을 더욱 명료히 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폐에서, 연구진이 추린 코로나19 후유증 유발 단백질이 실제로 증가하였다. ©An et al. Briefings in Bioinformatics
연구팀은 개발한 프로그래밍 코드를 오픈소스로 공유했다. 또한 누구든 직접 단백질을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개발했다. (https://ahs2202.github.io/3M) 인간의 능력으로는 불가능에 가까웠던, ‘단백질 구조에서 비슷한 부분 찾기’가 너무도 간단했다. 어떤 부분이 비슷한 구조인지를 표시해주고, 또 직접 마우스로 이리저리 돌려보면서 어느 부분이 같은 지 찾아보는 것도 신기했다. 일전의 인터뷰에서 안현수 학생이 “한눈에 이해되지 않는 복잡한 현상이라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시뮬레이션의 매력”이라 말했던 것이 단번에 와닿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웹사이트로, 누구나 쉽게 단백질 같은 그림 찾기를 할 수 있다. ©ahs2202.github.io/3M
사실 연구팀이 본래 하고 있던 연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아니었다. 안현수 학생은 “원래는 자가면역질환과 장내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고 있었다”며 “2020년 3월, 함께 연구하던 은민호 학생과 관련 문헌을 같이 공부하던 중 단백질의 유사성이 자가면역질환의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렇게 단백질의 유사성을 찾아내는 프로그램을 조사해보았지만 찾을 수 없었기에 “우리가 직접 만들어보면 어떨까”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되었다고 한다. 3개월 후 2020년 6월 이탈리아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크게 퍼지면서 자가면역질환이 급증하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구축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활발한 소통과 아이디어의 교류가 연구의 시작이 된 것이다.
박지환 교수는 안현수 학생 외에도 공동저자로서 “생명정보학 전공지식을 갖춘 은민호 학생, 단일세포 데이터 분석에 전공지식을 갖춘 이자운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덧붙였다. 또한 연구의 의의로서 “그동안 임상적인 관찰로만 코로나19 후유증의 원인으로 자가면역반응이 제시되었지만, 이번 연구로 실제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후보단백질을 발굴하고 후유증과의 인과관계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히며, “코로나19 후유증 치료제의 개발 뿐만 아니라 향후 다른 바이러스의 백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246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