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로 자리 잡고 있는 기술이 바로 인공지능(AI)이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이 새로운 표준이 되고 있는 요즘,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 일상 속으로 성큼 들어왔다.
이미 AI 스피커와 스마트폰은 보편화가 됐으며, 코로나19로 인해 AI 기술이 접목된 원격회의 설루션을 이용해 업무를 보고 쌍방향 소통이 강화된 온라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빅데이터로 감염경로를 확인하고 예측하는 등 K-방역에도 AI가 활용되고 있다.
2020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가 지난 3일 개최되어 ‘모두를 위한 모두의 AI’를 주제로 열렸다. ⓒ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증강지능 시대 도래 앞당겨
그런데 3일 ‘모두를 위한 모두의 AI’를 주제로 열린 ‘2020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기조강연에서 코로나19라는 지금까지 유례가 없었던 경험으로 인해서 인공지능 시대를 넘어 증강지능(Augmented Intelligence) 시대의 도래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김윤 SK텔레콤 CTO는 “AI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해서 인간이 하는 일을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안전하고 자연스럽게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총징하는 것”이라며 “코로나19가 증강지능 시대 도래를 앞당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에서 김윤 SK텔레콤 CTO가 ‘인간과 AI가 공조하는 증강 지능의 시대’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영상 캡처
그래서 그는 “사람과 기계와의 경쟁은 시간 낭비일 뿐이고 기계와 인간이 서로 잘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함께 진화하고 상생해야 증강지능 시대에 사람과 기계, 지구가 공존할 수 있다”며 “코로나19는 인류에게 닥칠 재난의 첫 웨이브일 뿐이므로 AI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얻을 수 없었던 인사이트(Insight)로 앞으로 다가올 다음 팬데믹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인간의 잘못된 데이터로 인해 편견이 생길 수도 있고 보안에도 리스크가 크다. 88% 정확도로 고양이로 인식하는 AI가 데이터 숫자가 아주 조금만 바뀌어도 고양이를 멕시칸 음식으로 99% 확신하는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오류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목적함수가 중요하다는 것이 김 CTO의 주장이다. AI 음성인식에서 100개의 단어 중에서 잘못 알아듣는 에러 횟수를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 그는 미래 세상은 초연결, 초지능 세상이 될 것이기 때문에 물리적 세상과 디지털 세상의 격차가 좁혀지는 것은 물론, 경계가 모호해지기 때문에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이 AI로 소통하는 세상이 열릴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 이에 AI가 없는 개인은 있어도 AI가 없는 기업은 있을 수 없다는 것.
김 CTO는 “과거에는 인간과 기계가 텍스트 기반으로 소통을 했고 이제는 음성으로 소통하는 시대가 됐다. 식당 예약을 지시하면 AI가 직접 예약 전화를 거는 시대이기 때문에 AI가 없는 기업은 망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모두를 위한 모두의 AI’ 미래 기술 조망
이 밖에 이날 연차대회에서는 ‘모두를 위한 모두의 AI’가 될 수 있는 국내 스타트업의 AI 기술·서비스와 대학의 최신 연구 현황 등 미래 AI 기술을 조망하는 자리도 가졌다.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에서 국내 스타트업의 AI 기술·서비스와 대학의 최신 연구 현황 등 미래 AI 기술을 조망하는 자리를 가졌다.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영상 캡처
최근 기업의 의사결정에 AI가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자동차 사고가 발생했을 때 기존에는 보험사의 손해사정사가 일일이 사진을 통해 차량 파손 정도를 판단했는데, 이제는 이미지 인식을 통해 AI가 자동으로 판단한다.
기업이 최적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AI 알고리즘 기반 설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애자일소다 대표 최대우 한국외대 교수는 “부족한 분석용 데이터의 자동생산부터 스스로 진화하는 전략 추천 기능까지 AI가 기업의 디지털 의사결정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우리나라는 의료분야에서의 AI가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AI가 MRI 영상을 통해 치매를 유발하는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는 이유를 설명하거나, 안저 사진을 통해 당뇨성 망막변성증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등 의료 영상 분석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정규환 뷰노의 기술이사는 “그동안 의료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임상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예외 상황을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적대적 공격을 통한 모델의 예외 상황 보완, 품질이 낮은 영상에 대한 판독 불가 의견 제시 등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인공지능의 전성기를 이끈 것은 딥러닝이다. 딥러닝의 가장 중요한 소스는 데이터인데 우리나라에는 양질의 의료데이터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의료 AI는 경쟁력 있는 분야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125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온도 감응 색 변화 염료를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체온 변화를 맨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필름 타입 색 변화 멤브레인보다 체온 범위 온도에서 색 변화 민감도를 최대 5배 이상 높일 수 있다.
인류가 만든 우주망원경 중 최강을 자부해온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내달 12일 첫 이미지 공개를 앞두고 29일(현지시간)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웹 망원경을 운영할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에서 브리핑을 갖고 우주에 대해 새로운 세계관을 갖는 역사적인 순간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CNN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프로그램 책임자로 이 이미지 중 일부를 본 토마스 주부큰 부국장은 웹 망원경이 공개할 첫 이미지가 과학자들에게 감격적인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판다는 거의 대나무만 먹는 까다로운 입맛을 갖고 있다. 배가 고플 땐 곤충이나 설치류도 잡아먹는다고 하지만 대나무가 먹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원래 식육목 곰과 동물이다 보니 이런 식성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생긴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화석을 통해 적어도 6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증거가 나왔다. 대나무를 잡는 데 이용하는 여섯 번째 손가락과 같은 독특한 가짜 엄지가 고대 화석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췌장암은 5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한 치명적인 암 중 하나다. 췌장암이 이렇게 위험한 건 무엇보다 다른 부위로 걷잡을 수 없게 전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췌장암의 전이 속도를 늦추거나 전이 자체를 중단시킬 수 있는 '분자 경로'가 발견됐다. 문제를 일으키는 건 단백질 내 아미노산의 산화 손상을 복구하는 일명 '지우개 효소'(eraser enzyme)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률이 높다. 이는 폐경 때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뇌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신경 퇴행 질환 센터 인구 보건 과학 실장 모니크 브레텔러 박사 연구팀이 남녀 3천410명(평균연령 54세, 여성 58%)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30일 보도했다.
성인 암 생존자는 심부전,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심장-종양 실장 로베르타 플로리도 교수 연구팀이 1987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동맥경화 위험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참가자 1만2천414명(평균연령 54세)의 2020년까지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9일 보도했다.
오늘은 국제 소행성의 날입니다. 소행성 충돌 위험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국제사회에 요청하기 위해 2016년 유엔(UN)이 공식 지정했죠. 6월 30일은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 상공에서 지름 50m급 소행성이 폭발해 2천㎢의 숲을 황폐화한 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