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은 바다를 거대한 목욕통에 비유하고 있다.
그 안에는 약 13억 세제곱 킬로미터의 물이 들어있는데 해저에서는 끊임없이 물이 순환하고 있다는 것.
이를 ‘심해 순환(deep water cycle)’, ‘지질학상의 물 순환(geologic water cycle)’라고 하는데, 엄청난 양의 바닷물이 지각과 지구 핵 사이 약 30~2900km까지의 영역인 맨틀(mantle)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지구에서 생성된 최초의 대륙으로 추정되는 ‘판게아’. 엄청난 양의 바닷물이 맨틀 내부를 스며들면서 지각 판 변동에 의해 ‘판게아’가 생성됐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받고 있다. ⓒWikipedia
‘판게아’ 탄생한 것은 2억3000만 년 전 이후
11일 ‘라이브 사이언스(Live Science)’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매일 맨틀 윗부분을 통해 흡수되고 있는 물의 양이 1000만 리터를 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물이 흡수되고 있는 곳은 지각 표층인 텍토닉 플레이트(tectonic plates)가 서로 부딪히는 곳이다. 충돌로 인해 틈이 생기면서 이곳에 물이 흘러들고, 일부는 맨틀을 적시며 그곳에 남아 있게 된다.
그러나 훨씬 더 많은 물은 지구 내부의 고온으로 인해 다시 솟구쳐 오른다. 과학자들은 해저 화산(underwater volcanoes), 열수분출공(hydrothermal vents) 등을 통해 맨틀에 스며들었던 물이 다시 분출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문제는 맨틀 속으로 흡수되는 물의 양이다. 흡수되는 물의 양이 분출되는 양보다 많았을 때 해저 표면은 상승하고, 반대로 흡수되는 양이 분출되는 물의 양보다 적었을 때는 해저 표면이 가라앉게 된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런 현상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리고 지난 5월17일 미국 지구물리학회와 지구화학회에서 발간하는 ‘AGU 저널’을 통해 바다 밑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심해 순환’이 오랜 기간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분석한 결과가 발표됐다.
논문 제목은 ‘Deep Water Cycling and Sea Level Change Since the Breakup of Pangea’이다.
이 논문에서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 연구팀은 모델링을 통해 2억3000만 년 전서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심해 순환’의 역사를 재구성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바닷물이 멘틀 내부로 많은 양이 흘러들어가면서 해수면이 하강하고, 반대로 맨틀을 부풀어 오르게 한 수차례의 시기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 시기 해수면 높이가 130m나 하강했었다고 말했다.
대서양이 생겨난 것은 1억7500만 년 전
그리고 이와 같은 바닷물과 맨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탄생한 것이 지구 최초의 대륙인 ‘판게아(Pangea)’라는 것.
지난 1912년 독일의 지구물리학자인 알프레드 베게너(Alfred Wegener)는 ‘대륙이동설(The Origin of Continents and Oceans)’을 주장했다.
그의 이론은 ‘판게아(Pangea)’로부터 시작된다. 지금의 여러 대륙이 분열하기 전에 하나였다는 것. 베게너는 이 대륙을 ‘판게아(Pangea)’라 명명했다. 그리스어로 ‘Pan’은 범(汎), ‘gaia’는 대지(大地)를 의미하는데 두 단어를 합치면 ‘지구 전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베게너의 이론은 이후 ‘판구조론(Plate Tectonics)’으로 발전한다. ‘판게아’로부터 여러 개의 지각판이 갈라져 나와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
‘판게아’ 형성에 대한 연구도 이어졌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바닷물과 맨틀 간의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었다. 그리고 오슬로 대학 연구팀에서 과학적 모델링에 의해 ‘판게아’의 형성 과정을 명확히 설명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연구를 이끈 클리스터 칼센(Krister Karlsen) 교수는 “판게아의 형성이 매우 빠르게 진행된 지각표층의 섭입(Subduction)과 관계돼 있다.”고 말했다.
여기서 섭입이란 하나의 지각판이 다른 판 밑으로 내려가는 과정을 말한다. “섭입 과정에서 많은 물이 지구 내부로 스며들어 갔으며, 이로 인해 해수면이 급격히 하강했고, 반대로 지각 표면이 갑자기 솟아올랐다.”고 말했다.
‘판게아’의 형성 과정을 ‘심해 순환’에 의해 설명하고 있는 오슬로 대학 연구팀은 ‘판게아’ 형성 이후 지각판이 언제 어떻게 갈라져 나와 지금의 5대양 6대주를 형성하게 됐는지 기술하고 있어 학계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판게아’가 갈라지기 시작한 것은 약 2억 년 전이다. 이후 그 범위를 확대하면서 새로운 바다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대서양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약 1억7500만 년 전인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해저 표면에 거대한 균열이 생기고 그 안으로 판이 솟아오르면서 그 사이로 어마어마한 양의 물이 쏟아져 들어갔으며, 늘어난 물이 지각판을 멀리 밀어내는 과정에서 대서양이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칼센 교수는 이번 연구가 대서양을 대상으로 진행됐다고 말했다.
논문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관련, 분석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지구 표면에 물이 풍부해질수록, 지각판에 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것. 이 상황은 심해 상황이 아니라 바다 전체 상황을 감안한 것이다.
교수는 그러나 “지금처럼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할 경우 물이 풍부해져 지각 판에 영향을 미치고 균형이 깨질 가능성이 높다.”며, 최근 해수면 상승 속도가 급속히 빨라지는데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971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대한민국의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1위로 '인공지능'(AI) 이 선정됐다. 특허청은 발명의 날(5월 19일)을 앞두고 국민이 뽑은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10대 발명 기술'을 18일 발표했다. 인공지능 기술에 이어 2위는 로봇, 3위는 미래차가 차지했으며 수소(4위), 에너지(5위) 등이 뒤를 이었다.
라오스 고대 동굴서 화석 인류인 데니소바인 소녀에게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어금니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네안데르탈인의 사촌 격인 데니소바인은 화석이 드문데다 동남아 열대 지역 거주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호주 플린더스대학과 외신 등에 따르면 코펜하겐대학 고인류학자 파브리세 데메테르 박사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라오스 북동부 안남산맥의 석회암 동굴 '탐 은구 하오(Tam Ngu Hao) 2'에서 발굴한 어금니 화석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천식 치료제 알부테롤(albuterol)과 부데소니드(albuterol)를 병행 투여하면 천식 발작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천식 발작은 천식이 악화해 호흡이 빠르고 숨을 내쉬기 힘들게 되는 상태로 응급실 이송이나 입원이 필요하게 된다.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기관지 확장제인 알부테롤은 속효성(short-acting) 베타-2 항진제로 기도에 있는 베타 수용체와 결합, 평활근을 이완시켜 천식 발작을 억제한다.
12일 국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협력단이 발표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 포착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도 참여해온 EHT 프로젝트를 통해 거둔 획기적인 성과다. 블랙홀이라고 하면 대부분 영어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해 '검은 구멍'을 떠올리지만 블랙홀은 빛조차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으로 파괴되는 병이다. 이렇게 베타세포가 손상되면 인슐린 부족으로 혈당치가 급격히 치솟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1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아프리카나 중동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북위 37.7도인 우리나라 파주시에도 사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경기 파주시에서 관찰되기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