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은 천연 상태의 포스포린 원자 모형(회색). 천연 상태 포스포린에서 전자 밴드갭(보라색 도형)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오른쪽은 포스포린 표면에 칼륨 원자(노란색)가 도핑된 원자 모형. 표면 도핑된 포스포린에 발생하는 한 쌍의 디락 입자(빨간색·파란색)를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은 김근수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양범정 서울대 교수·최형준 연세대 교수와 함께 천연 상태에서 존재하지 않는 2차원 반도체의 중요한 성질을 인공적으로 만들었다고 3일 밝혔다.
2차원 반도체는 원자 한 겹 두께의 평면구조를 갖는 신물질이다. 탄소(C) 원자로 이뤄진 ‘그래핀’과 인(P) 원자로 된 머리카락 굵기 10만분의 1 수준 ‘포스포린’ 등이 대표적이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은 디락 입자 덕에 빠른 전하 이동도를 갖고 있다.
디락 입자는 빛처럼 유효 질량이 0인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대론적 입자다.
또 다른 2차원 반도체인 포스포린의 경우 밴드갭이 있어서 전류 흐름 제어는 비교적 쉽다.
그러나 전하가 디락 입자 같은 성질을 갖고 있지 않아 그래핀만큼의 전하 이동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2015년 포스포린 표면에 칼륨 원자를 흡착시켜 밴드갭을 제어하는 기술을 발견한 데 이어 이번엔 밴드갭 제어 기술을 고도화했다.
밴드갭은 반도체 물질의 고유 물리량으로, 전류를 막는 ‘에너지 장벽’에 비유할 수 있다.
0에 가까우면 전류가 너무 쉽게 흘러 도체가 되고, 아주 크면 절연체가 된다.
그간 학계에선 천연 상태에서 디락 입자를 가지지 않은 물질에 인공적으로 디락 입자를 만들어내는 건 불가능하다고 봤다.
연구팀은 그러나 포스포린 물성 한계를 극복해 디락 입자를 인위적으로 유도했다.
이런 성과는 세계적으로도 첫 사례라고 연구재단 측은 전했다.
연구팀은 포스포린 밴드갭 제어 범위를 확장해 밴드갭 값을 음수로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디락 입자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포스포린 디락 입자는 그래핀과 달리 안정한 입자 형태를 이룬다.
김근수 교수는 “더 완벽한 2차원 반도체 물질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알려진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도 필요하다”며 “반도체 소자 작동 원리인 전하량 조절을, 밴드갭 제어로 대체하는 새로운 개념의 고성능 반도체 소자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아울러 하나의 디락 입자가 분열할 때 한 쌍이 형성되는 ‘2차원 바일 입자’ 탐색 가능성도 학문적으로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집단연구)과 포스코청암재단, 기초과학연구원 등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물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지난달 29일 자(편집자 추천 논문)에 실렸다.
김지민 포스텍 석박사통합과정이 논문 제1저자다.
(260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