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로 만나는 6·25 전쟁과 DMZ…“스토리텔링과 기술로 몰입감”
피복과 무기 보급도 부족한 채 이름, 군번, 계급도 없이 끝까지 목숨 바쳐 싸운 ‘타이거여단’. 이 비정규 유격대는 서해의 군사적 요충지 등을 방어하며 훗날 특수전사령부의 모체가 됐다.
구글과 국가보훈처가 6·25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22일 전 세계에 공개한 온라인 전시 ‘한국의 비무장지대’(goo.gle/koreadmz)에서는 6·25 전쟁 주요 사건, 정전 협정 과정과 교훈, 그리고 물리적 방문에 제약이 많은 비무장지대(DMZ)의 자연과 예술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역사 부문에서는 서울 함락, 인천상륙작전, 정전협정까지 굵직한 6·25 전쟁 주요 사건부터, 머리에 파편이 박힌 채 한평생을 살다 떠난 고(故) 이학수 병사의 비망록과 어린 나이에도 전장에 뛰어든 학도병들의 이야기, 부산 피란민들의 생활까지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일반 병사의 시선으로 바라본 전쟁의 참화와 상흔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어 울림을 준다.
이학수 병사는 진해에 위치한 해군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며 93쪽 분량의 병상 비망록을 썼다. 1952년 67고지 전투에서 전사한 전우들의 유해를 수습하지 못하고 전장을 떠나왔던 미안함과 전우들에 대한 그리움부터 휴전협정 막바지 통일 정부의 수립을 원하는 마음 등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은 이날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제 할아버지도 참전하셨고 실향민”이라며 “병사 비망록 등을 살펴보며 울컥했다”고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야전 병원을 운영하던 노르웨이의 이동 외과병원 ‘노르매쉬’ 관련 사진 기록물도 만날 수 있다. 한국에 파견된 최초의 해외 의료지원단인 스웨덴 의료지원단의 활약을 통해 헌신적인 의료구호 활동과 당시 외국인들의 눈에 비친 한국의 모습을 조명해본다.
DMZ 부문에서는 지역적 특성, 자연 보호, 안전 및 보안 등의 이유로 물리적 방문에 제약이 많은 접경지역의 경관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직접 방문한 듯 볼 수 있다.
대암산 정상 부근 해발 1천280m에 고원지대에 있는 습지 ‘용늪’은 연간 300일 내외 비가 오는 장소로 많은 시도 끝에 촬영에 성공했다. 큰용늪과 작은용늪을 자연의 생생한 소리와 함께 실감 나는 스트리트 뷰 콘텐츠로 감상하다 보면 ‘하늘로 올라가는 용이 쉬었다 가는 곳’이라는 지명이 마음에 와닿는다.
사이먼 레인 구글 아트 앤 컬처 시니어 프로그램 매니저는 “이번 전시에 적용된 스트리트 뷰 기술은 구글 지도 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술이며, 특히 영상과 소리의 결합으로 더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DMZ처럼 의미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 역사 경험을 공유하는 장이라 단순히 이미지 업로드를 하는 것과 스토리텔링을 하는 건 큰 차이가 있다. 스토리텔링 역량이 특히 중요한 프로젝트였다”고 덧붙였다.
세계적인 멸종위기 동물이자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인 산양, 수달, 참수리, 재두루미와 한국에서만 서식하는 버들가지도 만나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비로용담·숙은처녀치마·삼지구엽초 등 평소 접하기 어려운 식물과 꽃들, 표범장지뱀·사향노루·반달가슴곰·노란목도리담비 같은 동물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도 볼 수 있다.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를 통해 현대미술 관점에서 DMZ를 바라보는 프로젝트를 10년 이상 이끌어온 김선정 아트 디렉터의 인터뷰도 실렸다.
(6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AI 조직 딥마인드(DeepMind)가 새 AI '알파데브'(AlphaDev)를 이용해 새로운 정렬 알고리즘(sorting algorithm)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C++'의 기능을 10년 만에 개선했다.
암컷 악어가 수컷 악어 없이 스스로 임신해 알을 낳은 자기복제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7일(현지시간) 영국 BBC가 보도했다. 이날 영국 왕립학회가 발행하는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악어는 2018년 1월 중미 코스타리카 렙틸라니아 동물원에서 알을 낳았다. 부스 박사 분석 결과 죽은 새끼는 유전적으로 어미 악어와 99.9% 일치했으며, 어미를 임신시킨 수컷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요즘은 생활 습관이 변화하면서 가족과 함께하는 식사가 줄고 이른바 '혼밥'이나 가족 이외 타인과의 식사가 늘고 있다. 이런 식습관 변화가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와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윤영숙 교수 공동 연구팀이 최근 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수 있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최근호에 발표했다.
세계 각국 과학자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년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근 10년간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이미 1.14℃ 상승하는 등 온난화가 전례 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만드는 '그린 수소'의 생산 효율을 높이는 촉매 구조 제어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이성수 선임연구원과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윤원섭 교수,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유필진 교수 공동연구팀이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성능을 높이도록 촉매소재 표면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대신해 금속 나노입자를 기체 상태로 반응시키면서 높은 산화수를 갖는 흑연 탄소 껍질로 둘러싸는 촉매 구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집고양이나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암고양이에게 한 번 주사하는 것으로 장기 불임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요법이 개발됐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