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스웨스턴대학(Northwestern University)의 아담 제이커스(Adam Jakus)는 실험실에서 우연히 작은 실수를 저질렀다. 3D프린터 잉크를 흘린 것이다. 제이커스는 뼈나 근육 및 신경조직의 재생에 필요한 3D잉크를 개발한 과학자이다. 제이커스는 이와 유사한 3D난소잉크를 개발하고 있었다.
놀란 제이커스가 흘린 잉크를 닦아냈을 때 난소잉크는 이미 말라서 얇고 단단한 종이처럼 변해 있었다. 이 분야 전문가인 제이커스는 “머리에서 전구가 반짝! 빛을 냈다. 나는 바로 다른 기관에서도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많은 재료를 만들 수 있음을 알아차렸다”고 말했다. 아담 제이커스가 개발한 ‘조직세포종이’(tissue paper)는 이렇게 탄생했다.
노스웨스턴 대학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생물조직에서 추출해서 만든 얇고 유연한 생물학적 종이는 다루기도 쉬워서 종이새를 접어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든 바이오물질은 젊은 암환자의 자연호르몬 생성을 도울 수 있으며, 상처치료에도 사용될 전망이다.
신약개발 및 재생의료에 사용될 듯
이들은 동물의 생체 기관에서 추출한 구조단백질을 가지고 조직세포종이를 만들었다. 이 단백질을 폴리머와 결합해서 굽히거나 접을 수 있는 생체물질이 탄생했다.
과학자들은 돼지 및 소의 근육, 콩팥, 간, 난소, 자궁, 심장에서 추출한 구조단백질로 다양한 조직세포종이를 만들고 그 내용을 첨단기능재료(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저널에 7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라미유 샤(Ramille Shah)는 “이같이 새로운 형태의 생물학재료는 신약개발이나 치료학은 물론이고 조직세포공학이나 재생의료 등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조직세포종이는 생물의 자연 기관이나 세포조직에서 만들어진다. 세포에서 구조 단백질을 남기는데 이것이 바로 ‘세포외 기질’ (細胞外 基質 extracellular matrix)이다.
과학자들은 이를 말려 가루로 만든 뒤 조직세포종이로 가공했다. 각 종류의 종이는 원래 기관에서 유래한 단백질구조와 생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조직세포종이는 재생과학자인 테레사 우드러프(Teresa Woodruff)연구실에서 소의 난포(follicle)를 가지고 실험했다.
난포는 난소 조직에 있는 주머니 모양의 세포 집합체로 난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배란 후 황체로 변화한다. 조직세포종이에서 자란 난포는 적절한 기능과 성숙에 필요한 호르몬을 생산한다.
이번 논문의 공동저자인 우드러프는 “이것이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의 후유증으로 호르몬 기능을 잃어버린 젊은 암환자의 정상적인 호르몬기능을 재생시키는데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난포가 있는 난소세포종이는 폐경기의 여성이나 암환자에게 호르몬 생산능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팔에 이식시킬 수 있다.
우드러프는 암에 걸렸어도 생식을 유지하는 온코퍼틸리티(Oncofertility)를 다루는 ‘온코퍼틸리티 콘소시엄’(Oncofertility Consortium) 소장이다.
줄기세포 성장도 도와
다양한 기관에서 만든 조직세포종이는 성인의 줄기세포의 성장을 개별적으로 지원한다. 과학자들이 사람의 골수줄기세포를 조직세포종이에 올려놓았더니 모든 줄기세포는 4주에 걸쳐 증식했다.
조직세포종이를 개발한 제1저자인 아담 제이쿠스는 “이 종이가 사람의 줄기세포성장을 돕는 것은 아주 좋은 신호”라고 말했다.
게다가 이 조직세포종이는 건조시키면 보통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종이처럼 사용이 쉽다. 제이커스는 이 종이를 냉장고에 보관할 만큼 보관도 용이할 뿐 더러, 이것을 가지고 종이새를 접기도 했다.
제이커스는 “이 종이는 젖으면 기계적 특성이 생겨나서, 접거나 자르거나 둘둘 말 수 있다”고 말했다.
제이커스는 샤 교수와 공동으로 ‘디멘숀 INX’ 스타트업을 설립했다. 이 회사는 3D로 인쇄가 가능한 의료용 재료를 개발 및 생산하는 사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에 대한 지적재산권은 노스웨스턴대학이 보유하고 있으며 ‘디멘숀INX’은 지적재산 사용권을 받을 계획이다.
제이커스는 “동물이 자기 안에 있는 고기를 가지고 부수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콩팥, 심장, 간, 자궁인데, 이들이 종이처럼 생긴 생물학재료로 바뀌고, 다시 이 생물학재료가 동물의 조직과 기관의 기능을 회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니 얼마나 신기한가?”라고 말했다.
제이커스는 “이제 나는 쇠고기나 돼지고기 안심을 예전과 같은 마음으로 바라볼 수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370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대한민국의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1위로 '인공지능'(AI) 이 선정됐다. 특허청은 발명의 날(5월 19일)을 앞두고 국민이 뽑은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10대 발명 기술'을 18일 발표했다. 인공지능 기술에 이어 2위는 로봇, 3위는 미래차가 차지했으며 수소(4위), 에너지(5위) 등이 뒤를 이었다.
라오스 고대 동굴서 화석 인류인 데니소바인 소녀에게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어금니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네안데르탈인의 사촌 격인 데니소바인은 화석이 드문데다 동남아 열대 지역 거주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호주 플린더스대학과 외신 등에 따르면 코펜하겐대학 고인류학자 파브리세 데메테르 박사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라오스 북동부 안남산맥의 석회암 동굴 '탐 은구 하오(Tam Ngu Hao) 2'에서 발굴한 어금니 화석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천식 치료제 알부테롤(albuterol)과 부데소니드(albuterol)를 병행 투여하면 천식 발작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천식 발작은 천식이 악화해 호흡이 빠르고 숨을 내쉬기 힘들게 되는 상태로 응급실 이송이나 입원이 필요하게 된다.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기관지 확장제인 알부테롤은 속효성(short-acting) 베타-2 항진제로 기도에 있는 베타 수용체와 결합, 평활근을 이완시켜 천식 발작을 억제한다.
12일 국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협력단이 발표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 포착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도 참여해온 EHT 프로젝트를 통해 거둔 획기적인 성과다. 블랙홀이라고 하면 대부분 영어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해 '검은 구멍'을 떠올리지만 블랙홀은 빛조차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으로 파괴되는 병이다. 이렇게 베타세포가 손상되면 인슐린 부족으로 혈당치가 급격히 치솟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1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아프리카나 중동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북위 37.7도인 우리나라 파주시에도 사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경기 파주시에서 관찰되기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