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ST 발사부터 현재까지]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과의 비교
코스모스의 저자로 유명한 낭만주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 교수(Prof. Carl Sagan)는 한평생에 걸쳐서 천문학과 대중의 간극을 좁히려 노력한 사람이다. 그의 헌신과 함께 대중에게 천문학을 알린 또 하나의 주체로 바로 허블 우주망원경을 꼽을 수 있다.
천문학에 관심이 없던 대중들도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화려한 우주에 관심을 가지며 천문학 사진 등을 수집하기 시작했고, 대중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던 성운 등 아름다운 우주는 여러 사람의 컴퓨터 바탕화면으로 설정되기 시작했다.
이 중 가장 유명하고 아름다운 사진 중 하나로 알려진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이 있다. 창조의 기둥은 메시에 16(M16)으로도 알려진 독수리 성운의 일부분으로, 말 그대로 수많은 천체가 태어나는 ‘별들의 요람’ 같은 곳이다.
창조의 기둥 (Pillars of Creation) ⓒ Hubble Space Telescope/NASA
위 사진은 1995년 당시 애리조나 주립대 소속 천문학자 제프 헤스터 박사(Dr. Jeff Hester)와 폴 스코웬 박사(Dr. Paul Scowen)에 의해서 촬영되었으며, 위 사진을 통해서 창조의 기둥을 구성하고 있는 가스와 먼지들이 새로운 별을 만드는 과정 중에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반대로 어린 별들로 터 나오는 뜨거운 자외선과 항성풍이 가스와 먼지 탑을 서서히 침식시키고 있음이 드러났다. 훗날 이 사진은 가장 훌륭한 허블 망원경의 사진 Top 10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이후 2011년 중적외선 파장을 이용한 유럽우주국(ESA)의 허셜 우주망원경(Herschel Space Observatory)이나 엑스선을 이용한 XMM-Newton 망원경, 그리고 업그레이드를 마친 허블 우주망원경 등 여러 우주망원경은 창조의 기둥을 재촬영했다.
허셜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창조의 기둥 모습(중앙 아랫부분) ⓒ Herschel Space Observatory/ESA
2014년에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다시 촬영한 창조의 기둥 모습. 이미지의 파란색은 산소, 빨간색은 황, 녹색은 질소와 수소의 존재를 나타내며 창조의 바깥에 있는 어린 별 무리에서 나오는 뜨거운 자외선과 항성풍은 가스와 먼지 탑을 서서히 침식시키고 있다. ⓒ 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허블 우주망원경은 0.1에서 0.8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파장, 즉 자외선 및 가시광선 관측에 특화된 장비이지만 0.8에서 2.5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적외선 파장을 이용한 관측도 가능하다. 적외선을 이용한 허블 우주망원경의 창조의 기둥 촬영 사진은 아래와 같다. 처음 이 사진이 공개되었을 때, 전 세계의 천문 사진 팬들은 마치 반지의 제왕의 ‘사우론’과 같다고 표현했다. 어두운 밤하늘에서 그림자 같은 모습이 아름답다 못해 섬뜩하기까지 했기 때문이다.
적외선을 이용한 허블 우주망원경의 창조의 기둥 촬영 ⓒ 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창조의 기둥은 파장에 따라서 외형이 매우 달라 보이며, 자세한 구조의 촬영을 위해서는 망원경의 해상도 역시 매우 중요하다. ⓒ ESA, NASA
겉보기 등급이 6인 독수리 성운은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7월에 가장 잘 보이지만, 시각적으로 잘 분해된(resolved) 창조의 기둥을 관측하려면 적절한 파장, 대형 망원경 그리고 최적의 관찰 조건이 요구된다.
과연 역대 가장 섬세하고 민감한 적외선 우주망원경인 제임스 웹의 눈으로 본 창조의 기둥은 어떠할까? 대중에게 가장 인기 있는 천체 중 하나인 창조의 기둥의 촬영을 제임스 웹이 놓칠 리가 없다.
창조의 기둥은 어린 별들이 형성되고 있는 지역이다. ⓒ Joseph DePasquale (STScI), Anton M. Koekemoer (STScI), Alyssa Pagan (STScI), JWST/NASA, ESA, CSA
위 사진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로 촬영하였으며 참조용으로 나침반 화살표, 눈금 막대 및 색상 키 등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북쪽과 동쪽 나침반 화살표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관측 이미지를 바라볼 때의 방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상에서 하늘을 바라볼 때의 방향은 이와 비교해서 반전된다. 스케일 바는 빛이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인 광년으로 표시되며, 스케일 바만큼 이동할 때 빛의 속도로 2년이 걸린다. 참고로 1광년은 약 9조 4,600억 km 정도 되는 거리이다. 위 스케일 바를 통해서 사진에 표시된 시야는 대략 8광년 정도 됨을 알 수 있다.
이 이미지는 가시광선 색상으로 변환된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진 아래에 나열된 다른 색상의 필터는 해당 빛을 수집할 때 사용된 필터를 보여주고 있다. 즉, 각 필터 이름에 사용된 색상은 해당 필터를 통과하는 적외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 가시광선 색상을 나타낸다. (고해상도 사진 보러 가기) ※[참고] 해당 사진의 용량이 160MB가 넘습니다.
창조의 기둥은 어린 별들이 형성되고 있는 지역이다. 분자 구름의 한 부분에서 충분한 질량과 함께 자체 중력으로 붕괴되기 시작하면 별의 탄생이 시작되는데, 새롭게 형성되는 별들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시그니처로 불리며 주경과 부경 지지대의 모양에 의해서 형성되는 8개의 회절 스파이크 와 함께 빨간색으로 보인다. (고해상도 사진 보러 가기) ※[참고] 해당 사진의 용량이 150MB가 넘습니다.
창조의 기둥은 어린 별들이 형성되고 있는 지역이다. ⓒ Joseph DePasquale (STScI), Anton M. Koekemoer (STScI), Alyssa Pagan (STScI), JWST/NASA, ESA, CSA
창조의 기둥 가장자리를 따라서 마치 ‘용암’처럼 보이는 물결 모양의 선이 보인다. 이들은 겨우 수십만 년밖에 되지 않았으며 아직 형성 중인 별에서 방출되는 주기적인 초음속 제트로 구름 내 가스와 먼지들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이들은 때로는 때때로 보트를 타고 강을 이동할 때처럼 물결 모양 패턴을 형성하는 충격파를 일으키기도 한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가스, 먼짓덩어리들 그리고 성간 매개체는 근적외선을 통해서 관측하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으로 하여금 창조의 기둥 너머의 멀리 있는 은하 및 우주의 관측을 사실상 방해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반투명한 가스층은 더 깊은 우주 관측으로부터 우리의 시야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먼지 역시 창조의 기둥에서 폭발적으로 탄생하고 있는 수많은 별빛에 의해서 밝게 빛나게 된다. 미항공우주국의 표현에 따르면 이는 마치 조명이 밝은 방에 서서 창밖을 내다보는 것과 같다. 내부 조명이 창에 반사되어서 외부를 가리고 오히려 내부를 밝히기 때문이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성공적으로 촬영한 창조의 기둥은 수많은 천문학자에게 별 형성 모델을 수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예정이다. 위 지역의 가스와 먼지의 양 등 중요 변수들을 수학적으로 제한함과 동시에, 보다 정확하게 다른 천체를 식별함으로써 수백만 년에 걸쳐서 어떻게 분자구름이 폭발하며 별이 형성되는지에 대한 천문학적인 질문에 대해서 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과의 비교 ⓒ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Joseph DePasquale (STScI), Anton M. Koekemoer (STScI), Alyssa Pagan (STScI), JWST/NASA, ESA, CSA
왼쪽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1995년 처음 창조의 기둥을 촬영한 이후로 2014년 다시 촬영한 사진이다. 예전 사진과 비교해서 가시광선에서 더 선명하며 보다 더 넓은 시야를 드러내 주고 있다. 반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이번에 촬영한 오른쪽 사진을 통해서 별 형성 지역의 먼지를 더 자세히 관측할 수 있다. 두껍고 먼지가 풍부한 갈색의 기둥은 더 이상 불투명하지 않으며 이곳에서 아직 형성 중인 더 많은 붉은 별이 보인다. 이처럼,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에서는 가스와 먼지기둥이 더 어둡고 덜 투과적으로 보이지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에서는 더 투명하게 보인다.
또한,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의 배경은 마치 일출과 비슷하다. 아래부터 노란색 밝은 녹색 그리고 파란색으로 전환되는데 위 색상들은 기둥 주변의 먼지 두께에 따라서 달라지며 위 주변의 많은 별을 가리고 있다. 이와 반대로 근적외선은 먼지구름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은 실제로 더 많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위 사진의 배경은 수소 원자로 인해서 파란색으로 보이며 창조의 기둥 주변에 퍼져있는 많은 별과 곧 태어날 별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두 사진 모두 창조의 기둥 지역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허블 우주망원경은 두꺼운 먼지층을 강조하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더 많은 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두 사진 모두에서 마치 안개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먼지와 성간 물질들로 인해 더 깊은 우주는 자세히 드러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784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 소모량과 맞먹고,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학습 서버 한 대의 전력소모량이 알파고의 10배를 넘는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초저전력·고성능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인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소자) 기술 혁명이 필요한 이유다.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드론은 저렴한 가격과 기동성으로 소방·정찰·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운용 주체·의도를 숨길 수 있어 군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 테러리스트들도 쓰는 도구가 되고 있다.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국가 중요 시설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안티드론 기술 평가장이 되고 있다.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인 침팬지도 10대 때는 사춘기 청소년처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보이지만 인내심은 오히려 10대 청소년보다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 미시간대 알렉산드라 로사티 교수팀이 콩고공화국 보호구역에서 태어난 야생 침팬지 40마리를 대상으로 충동성과 위험 감수 경향, 인내심 등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경고가 뜨고 가스 밸브가 자동으로 잠긴다면 훨씬 안전할 수 있다. 기상청은 '지능형 사물인터넷'(사물지능융합기술·AIoT) 기술을 활용한 지진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차세대 지진재난문자 서비스 연동방안 연구'를 올해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