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ST 발사부터 현재까지] 별 형성에 필수적인 수소 분자의 위치를 강조하기 위하여 여러 파장의 빛을 분리하여 재구성
2022년 7월 제임스 웹의 5가지 사진과 스펙트럼이 처음으로 공개된 후 사람들의 컴퓨터 바탕화면이 바뀌기 시작했다.
특히 네 번째로 공개된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 혹은 용골자리 에타 성운 η Carinae Nebula, NGC 명칭: NGC 3372) 내 “우주 절벽”은 대중이 가장 좋아하는 아름다운 우주 사진에도 뽑힐 정도로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천체이다. 따라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눈으로 본 우주 절벽 역시 사람들에게 큰 호기심을 사고 있다.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용골자리 성운의 “우주 절벽”이 상세히 드러나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눈으로 본 우주 절벽 역시 사람들에게 큰 호기심을 이끌고 있다. ⓒ NASA, ESA, CSA, STScI
용골자리 성운은 지구로부터 약 7,600광년(1광년은 9조 4,600억km) 거리에 있는 아주 복잡한 대규모 성운이다. 따라서 성운 자체로도 천문학적으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이 중 NGC 3324 산개 성단(open cluster: 같은 분자구름에서 태어나 나이가 비슷한 수천 개의 항성이 모인 집단)은 젊은 별이 탄생하고 있는 곳으로 1826년 처음 관측되었다. 산개 성단 NGC 3324의 오른쪽 가장자리에는 젊고 뜨거운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과 강렬한 항성 복사 자외선에 의해 성운의 벽이 천천히 침식되며 만들어지고 있는 ‘우주 절벽’이 있다.
산개 성단 NGC 3324의 오른쪽 가장자리에는 젊고 뜨거운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과 강렬한 항성 복사 자외선에 의해서 성운의 벽이 천천히 침식되며 만들어지고 있는 ‘우주 절벽’이 있다. ⓒ Megan Reiter et al. 2022, Rice University, NASA
처음 공개된 사진에서 우주 절벽 내 산봉우리가 솟아오르는 것처럼 보이는 “증기 기둥” 부분은 뜨겁게 이온화된 가스와 강한 자외선으로 인해 성운에서 흘러나오는 뜨거운 먼지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먼지로 뒤덮인 초기별에서는 금색으로 보이는 초기별 제트와 유출물이 성간 물질로 분출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메간 레이터 교수(Prof. Megan Reiter)가 이끄는 국제 천문학 연구팀은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로 촬영한 우주 절벽의 사진에서 발견된 수십 개의 제트와 어린별들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새로 공개된 사진에서는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로 촬영한 우주 절벽의 사진에서 발견된 수십 개의 제트와 어린별들에 집중했다. ⓒ NASA, ESA, CSA, STScI, Megan Reiter(Rice University), Joseph DePasquale(STScI), Anton M. Koekemoer(STScI)
새로 공개된 사진은 2022년 7월에 공개되었던 첫 번째 이미지에서 별 형성에 필수적인 수소 분자의 위치를 강조하기 위하여 여러 파장의 빛을 분리하여 재구성한 사진이다. NGC 3324 산개성단에서 별 형성에 대한 많은 비밀은 가시광선 파장에 숨겨져 있지만, 적외선에 민감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으로 제트의 분출(outflow)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천문학자들이 궁금해하던 비밀을 풀게 될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지난번 공개 사진과 같이 북쪽과 동쪽 나침반 화살표는 아래에서 볼 때 이미지의 방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위에서 볼 때의 방향은 화살표가 반전되어야 한다. 스케일 바는 빛이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인 광년으로 표시되는데, 빛이 스케일 바의 길이만큼 이동하는 데 약 2년이 걸린다.
활성 수소 분자의 유출이 있는 우주 절벽의 영역을 확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 NASA, ESA, CSA, STScI, Megan Reiter(Rice University), Joseph DePasquale (STScI), Anton M. Koekemoer (STScI)
지난번 근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에서는 6개의 필터가 사용되었지만, 위 사진에서는 F470N(4.7 마이크로미터, 빨간색으로 표시), F444W(4.44 마이크로미터, 녹색으로 표시), 그리고 F187N(1.87 마이크로미터, 파란색으로 표시) 등 3개의 필터만 사용되었다. 위 사진은 활성 수소 분자의 유출이 있는 우주 절벽의 영역을 확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위와 관계없는 배경별 등은 이미 사진에서 제거되었다
여러개의 분출(outflow)이 확인되었다. 위 영역은 바로 위 사진 중 네 번째(오른쪽 아래) 사진의 부분에 해당한다. ⓒ Reiter et al. 2022/Rice University, NASA
연구를 이끈 레이터 교수는 본 연구를 통해서 총 31개의 새로운 분출을 발견했다. 또한, 어린별이 가스나 먼지구름과 빠른 속도로 충돌할 때 방출되는 작은 성운 모양의 천체인 허빅-아로천체(Herbig-Haro object)를 7개(총 13개)나 새롭게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초기별 제트와 유출물을 분출하고 있는 천체들 요약, 총 31개의 분출(outflow)이 확인되었다. ⓒ Reiter et al. 2022/Rice University, NASA
레이터 교수는 위 연구를 통해서 원자 및 분자 구성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오직 전례없는 감도와 매우 세밀한 각도분해능을 가지고 있는 제임스 웹을 통해서만 가능한 천문학적 지식이라고 덧붙였다.
* 관련 논문 보러 가기 – “우주 절벽에 대한 심층 연구: JWST에 의해서 촬영된 NGC 3324 산개성단 내 분출(Deep diving off the ‘Cosmic Cliffs’: previously hidden outflows in NGC 3324 revealed by JWST)”
(96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정부가 2025년까지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5건을 제정하고 국제표준 30건을 제안하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2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선팰리스호텔에서 자율주행차의 산업 활성화와 표준화 추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업계·관계기관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의 사업화 안내를 위해 지난달 말 자율주행차 표준화 추진 전략 초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표원은
/ 약물 반응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인공신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 조동우·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사구체 혈관세포와 지족세포층, 사구체기적막층을 포함한 사구체 미세혈관 칩(인공신장)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신장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 등을 소변으로 배설함으로써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관이고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가장 먼저 일으키는 기관이기도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혈관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이 콧속 혈관·림프관의 3차원 정밀지도를 완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코는 후각을 담당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으로, 외부 공기를 데우고 습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비강(鼻腔)의 점막은 외부 병원균·이물질을 막아주는 최초 면역 장벽 기능도 수행한다. 다만 비강 내 복잡한 구조 때문에
/ 국세청이 챗GPT와 같은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세무상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한다. 국세청 대표 서비스인 홈택스를 ‘지능형 홈택스’로 고도화해 세금 신고·납부 과정에서의 납세자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국세청은 22일 서울지방국세청에서 2023년도 제1차 국세행정개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디지털 혁신, 복지세정, 국세행정 운영 방향 등을 논의했다. 국세행정개혁위원회는 모범 납세자와 각계 전문가
/ 이산화탄소를 고순도 기체로 포집하는 공정을 없애 경제성을 높인 새로운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공정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웅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원다혜 선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액상 흡수제에 기체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바로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해 고부가가치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액상 흡수제를 활용하는 CCUS 공정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다음 다시 고순도 기체로
/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이래 3개월여만에 ‘블루 아카이브’를 비롯한 한국산 게임에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2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게임을 포함한 27종의 외국산 게임 수입을 허가했다고 공지했다. 중국은 심의를 거친 자국 게임사 게임에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사 게임에는 ‘외자판호’를 발급해 서비스를
/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마침내 한국에 상륙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현대카드는 21일 오전부터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폰과 현대카드를 보유한 이용자는 호환 단말기를 보유한 매장에서 카드 실물 없이 휴대전화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당초 양사는 이달 초를 서비스 개시 목표일로 삼았으나 호환 단말기 보급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