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전담 기구 신설 검토…"과기부 내 별도 전담부서 희망"
정부는 2031년까지 공공 목적 위성 170여기 개발과 국내 발사체 40여회 발사를 추진키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5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서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21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이런 계획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김 총리가 이날 위원장 자격으로 주재한 회의에서는 ‘우주산업 육성 추진 전략’, ‘한국형위성항법(KPS) 시스템 개발사업 추진계획’, ‘국가우주위원회 운영계획’ 등이 심의·의결됐다.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은 원래 과기정통부 장관이 맡았으나, 최근 우주개발 진흥법 개정으로 국무총리로 격상됐다.
우리나라가 내년부터 2031년까지 개발할 약 170기의 공공 목적 위성에는 기상·통신·항법 분야에 적합한 정지궤도위성과 한반도 정밀 관측, 환경·산림 관측 등에 맞는 다목적실용위성, 차세대중형위성, 고빈도 지구관측 등에 걸맞은 초소형군집위성 등이 포함된다.
40차례 안팎의 국내 발사체 발사 계획도 이와 연계해 추진된다.
회의에서는 우주산업이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에 진입했다는 공감대 아래 나로우주센터 내에 민간기업을 위한 전용 발사체 발사장을 구축하는 내용도 논의됐다.
이날 국가우주위원회 개최에 앞서 열린 과기정통부의 사전 브리핑에서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2024년까지 490억원 정도를 투자한 고체(연료 발사체) 발사장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후 액체(연료 발사체)를 포함한 종합 민간 발사장으로서의 2단계 개발은 앞으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내년부터 2035년까지 총 3조7천234억5천만원을 투입해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위성·지상·사용자 시스템도 개발한다.
KPS는 다수의 인공위성을 이용해 센티미터(㎝)급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 독자 시스템으로, 자율주행자동차와 도심항공교통(UAM) 등 4차 산업혁명 신산업의 근간이 된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이를 위해 항우연 내에 KPS 사업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KPS개발사업본부’가 신설될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국가 통합항법체계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가칭) 제정을 추진해 ‘KPS위원회’, ‘KPS개발운영단’ 등 전담 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KPS 위성은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로 쏘아 올릴 수 있는 규모를 넘어서므로 외국 발사체를 활용할 예정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우주 개발에 관한 별도 전담 부서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밝혔다.
권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날 사전 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우주 개발 관련 별도 전담부서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며 “방식이나 형태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 협의가 필요하겠지만, 과기부 내에 별도로 우주 개발을 담당하는 전담부서가 존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22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