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KAIST와 통합 앞둬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 총장직대 이혁재)는 28일 오전 교내 대회의실에서 배순훈 전 정보통신부장관 등 내외빈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교 1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기념식은 내년 1월 KAIST와 통합을 앞두고 있어 마지막으로 치러지는 기념식으로 참석자 대부분 숙연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이혁재 총장은 기념사에서 “지난 10년간 눈부신 성장을 기념하는 자리인 동시에 새로운 도약을 결의하는 다짐의 자리이기도 하다”며 “세계 최고의 교육.연구기관으로 재도약하기 위해 KAIST와 통합을 위한 큰 틀에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말했다.
그는 “기존 전통산업은 물론 BT, NT 등 신규 산업과의 융합을 기반으로 미래 먹거리 산업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국내 IT산업과 기술 또한 변화가 필요하다”며 “KAIST와의 발전적인 통합을 성공적으로 이뤄낸다면 통합대학의 주역으로서, 미래 후배들에게 존경받는 선배로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ICU 설립과 발전에 공이 큰 강봉균 초대 이사장, 양승택 초대 총장 등 14명에게 공로패를 전달했으며 공학부 김명철 교수 등 46명에게 장기근속패도 수여했다.
ICU는 옛 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삼성전자, KT 등 국내 IT업체들이 1998년에 공동으로 설립한 IT분야 특성화대학교로 지난 10년간 공학박사 85명, 경영학 박사 6명, 공학석사 791명, 경영학석사 176명을 배출했다.
(69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 사멸 조절 기작을 발견, 암 발생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상태 물이 있는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미군의 역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싱크탱크 랜드연구소는 지난 24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미군이 장·단기적 기후변화 과제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랜드연구소는 기후변화가 미국의 병력 훈련, 정비 및 시설 정비, 국내외에서의 효과적 작전 수행 역량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며 폭염, 홍수, 산불, 가뭄, 토지 황폐화, 열대 폭풍우 등을 기후위험으로 꼽았다.
/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대상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3.3%가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대상이 된 슈퍼 박테리아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critical) 위협'으로 규정한 박테리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