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하기 쉬운 소재와 기존 제조공정 활용…빠른 상용화 기대"
기존보다 두께를 대폭 줄이고, 인식 범위도 화면 전면으로 넓힐 수 있는 지문 센서가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전자부품제조기업인 클랩(CLAP)과 함께 지문 인식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지문 센서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문 인식 장치는 빛의 음영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 등으로 구성되는데, 기존에는 광센서를 만들 때 주로 실리콘을 사용했다.
연구진은 비스 플루로페닐 아자이드(Bis Fluorophenyl azide)라는 물질을 도핑한 유기물을 활용했다.
유기물은 실리콘보다 광 흡수능력이 좋고, 실리콘보다 작은 두께로 광센서를 만들 수 있다.
실리콘은 흡수할 수 있는 빛을 파장대별로 구별하기 위해 컬러 필터를 추가해야 하지만 유기물은 그럴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두께를 대폭 줄이면서도 센서 모듈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주위 소자에 영향을 받아 화질이 저하되는 현상인 ‘소자 간섭’도 줄일 수 있어 필름형 지문 센서를 제작하는 데 유리하다.
연구진은 몰리브덴 산화물-금-몰리브덴 산화물로 구성된 3중층 상부 전극도 개발해 빛을 위에서 받는 형태로 광센서를 만들었다.
빛을 아래서 받는 기존 방식보다 두께를 줄이고 빛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든 셈이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면 지문 센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부피를 대폭 줄이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화면 일부만이 아닌 전면에 지문인식 기능을 부여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기존 제조공정을 사용해 제작할 수도 있어 빠른 양산도 기대할 수 있다.
박영삼 ETRI 책임연구원은 “비밀번호나 공인인증서와 달리 생체 인식 기술은 고유한 신체 특징을 활용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크다”며 “이번에 개발된 고성능 필름형 지문 센서는 휴대폰, 노트북, 현금지급기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재료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머티리얼즈 호라이즌스’에 9월 18일자로 온라인 등재됐다.
(14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