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배터리는 현재 디지털기기나 전기자동차 등에서 거의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원이다. 하지만 폭발의 위험성을 안고 있고, 주행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으며,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은 항상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다보니 이를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용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수많은 소재가 배터리 재료로 검토되었지만, 그중에서도 금속과 공기를 조합한 배터리가 높은 에너지 밀도 및 무한한 자원인 공기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금속과 공기 조합 배터리의 구조 및 원리 ⓒ science direct
공기와 조합되는 금속 후보군으로는 아연과 마그네슘, 그리고 알루미늄 등이 검토되고 있는데, 각각 장단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아연과 공기가 조합된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산소와의 환원반응으로 인해 전압 손실이 높은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마그네슘과 공기 배터리의 경우도 에너지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전압의 세기가 강한 편이지만, 느린 산소 환원 반응으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과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상용화가 더뎌지고 있다.
반면에 ‘알루미늄과 공기를 조합한 배터리(aluminum air battery)’의 경우 에너지 밀도가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월등하게 우수하며, 안정성 및 경제성에 있어서 그 어떤 금속보다도 뛰어난 장점 때문에 차세대 배터리로 각광받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장점 많은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
알루미늄과 공기가 조합된 배터리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지만, 처음 개발된 시기는 1960년대였을 정도로 그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안전성과 효율 면에서 문제가 많아 기업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그랬던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가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0년 미 코넬대의 ‘린든 아처(Lynden Archer)’ 교수가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의 전자 이동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발견하고 나서 부터였다.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의 구조 및 원리 ⓒ wikipedia
알루미늄 이온의 전자 이동성이 강화되는 방법을 연구진이 파악하고 나서 부터 상용화 가능성이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했다. 아처 교수는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시제품을 개발하면서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만이 가진 장점을 제시했다.
그는 “에너지 밀도가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5배 정도 뛰어나다는 점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라고 언급하며 “또 다른 장점은 저장용량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훨씬 크다”라고 밝혔다.
이 외에도 아처 교수는 알루미늄이라는 금속이 가진 장점에 대해 “무게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독성이 없어서 안전하다”라고 소개하며 “손쉽게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알루미늄이 가진 또 다른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전기비행기 동력에 적합한 배터리로 주목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의 상용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자동차나 비행기 같은 운송산업 분야가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해결해 주지 못한 난제를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가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 사례로는 미국의 항공분야 전문 스타트업인 라이트일렉트릭(Wright Electric)이 개발하고 있는 전기비행기를 꼽을 수 있다. 지난 2016년에 설립된 이 업체는 상용화가 가능한 전기비행기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 세계의 내로라하는 자동차제조업체들이 전기자동차를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 볼 때 전기비행기 개발이 더딘 이유는 배터리 무게 때문이다. 가벼워야 순조로운 비행을 할 수 있는 만큼, 무게는 비행기 개발에 있어 절대적 요인이다.
따라서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훨씬 가벼운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는 비행기에 적합한 배터리이지만, 문제는 재충전이다.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형태가 아니라 건전지처럼 한 번 쓰고 나면 버리는 1차 전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알루미늄을 산화 알루미늄으로 바꾸면서 전기를 내놓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가 탑재될 전기비행기의 개념도 ⓒ Wright Electric
이 같은 방식은 계속 재충전을 해야 하는 자동차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가끔씩 운항하는 비행기에는 가격만 저렴하다면 오히려 적합할 수 있다. 다만 배터리 용량은 비행기의 크기 및 무게와 비례하기 때문에 현재의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 용량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라이트일렉트릭이 전기비행기의 동력으로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를 검토하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화석연료나 수소와 달리 인화성이 없다는 점이다. 화석연료는 엔진 폭발이라는 위험성을 안고 있고, 수소 역시 폭발 위험성이 있어서 보관이 어렵지만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는 그런 위험에서 자유롭다.
현재 이 업체는 전기비행기에 ‘라이트스피릿(Wright Spirit)’이라는 브랜드를 붙인 채, 테스트용 모델인 시제기 제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목표는 오는 2026년까지 국내선과 남미를 오가는 100인승 전기비행기를 띄우는 것이다.
문제는 경제성이다. 알루미늄 공기 배터리가 리튬이온 배터리만큼 규모의 경제를 이루려면 상당한 생산량이 필요하지만, 수요처가 마땅치 않다는 것이 가장 큰 고민거리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재충전 방식의 배터리나 가격대비 효율을 높여야 과제가 선결되어야 한다는 것이 산업계의 의견이다.
(621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