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섭씨 36,7도를 오르내리는 무더위에 열대야까지 겹쳐 밤잠을 설치는 이들이 많다. 잠을 제대로 못 자면 이튿날의 활동에 지장을 받는 것은 물론, 건강을 해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간혹 잠을 잘 자볼 요량으로 술을 마시거나, 잠이 안 온다고 담배를 꺼내 물면 오히려 숙면을 해친다는 연구가 나왔다.
일반적으로 수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기호품은 커피. 커피를 마시면 잠이 안 온다는 얘기를 주위에서 흔히 들을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런 카페인 민감자에 대한 개별 조사는 제외되었으나, 민감자 이외에는 카페인이 숙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미국 플로리다 어틀랜틱대(FAU) 연구팀이 하버드의대와 하버드 공중보건대, 브리검 앤 여성병원, 에모리대 국립보건원, 미시시피대 의료원과 함께 아프리카계 미국인 785명을 대상으로 모두 5164일 동안 알코올과 카페인, 니코틴과 수면과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다.
연구 결과는 의학저널 ‘수면’(Sleep) 최근호에 발표됐다.
다섯 명에 한 명꼴로 수면 장애
미국에서는 대략 5000~7000만 명이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미국 전체 인구 기준으로 다섯 명 중 한 명꼴이다. 전문가들은 밤에 잠을 잘 못 이루면 심장병과 당뇨병, 고혈압을 비롯해 건강상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한다.
대체로 저녁 때 알코올과 카페인, 니코틴을 접하면 수면에 지장을 받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들 기호품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그동안의 연구들은 인종 혹은 인종적 다양성이나 객관적 수면 측정을 대표할 만큼 표본이 크지 않아 제한적이었다. 또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알코올, 카페인, 니코틴과 수면 제한요소 사이의 연관성을 철저하게 조사한 연구도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저녁 때 알코올과 카페인, 니코틴을 소비하는 양태와 함께, 가정에서 자연스럽게 잠을 잘 때의 객관적 측정치를 조사한 가장 최근의 대규모 장기 연구 중 하나로 꼽힌다.
카페인, 민감자 외에는 별 문제 안돼
연구팀은 센서가 있는 손목시계 같은 활동기록기(actigraphy)와 매일 매일의 수면 일기를 사용해 저녁 때 알코올과 카페인, 니코틴 사용이 수면 지속과 수면 효율 그리고 수면 중 깨기에 미치는 관련성을 조사했다.
수면 일기에는 연구대상자들이 잠들기 4시간 이내에 소비한 알코올과 카페인, 니코틴 양을 기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커피 애호가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수도 있다. 연구팀은 잠들기 4시간 안에 섭취한 카페인이 어떤 수면 제한요소가 된다는 사실도 발견하지 못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그러나 개인별 카페인 민감성과 카페인에 대한 내성 차이는 이번에 측정할 수 없었으며, 이런 개인적 특성들은 카페인 섭취와 수면 사이의 연관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녁 식사 때 알코올 음료를 마시거나 흡연을 하는 것은 수면에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자기 네 시간 안에 흡연을 하거나 알코올을 섭취한 밤에는 그렇게 하지 않은 밤에 비해 수면의 지속성이 나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나이와 성별, 비만, 교육수준, 이튿날의 과업 및 우울 증상과 불안, 스트레스 등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을 조정해 이번 결과를 산출했다.
잠 잘 자려면 담배 끊어야
니코틴은 수면을 방해하는 가장 강력한 물질로, 잠을 잘 자기 위해서는 담배를 끊어야 할 또다른 이유로 등장했다.
수면 지속과 관련해 저녁 흡연과 불면증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현저한 상호연관성이 있었다. 불면증을 가진 연구대상자 중 야간 흡연자는 수면 지속 시간이 평균 42.47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니코틴의 영향은 특히 불면증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수면 문제가 있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수면 효율이 높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연스럽게 관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316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