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 치료 등 활용할 피부 신축 정도·방향 측정센서 개발

전자통신연 "정확도 98%…로봇·웨어러블기기 전자피부에도 적용"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다양한 센서 데이터들을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으로 학습·분석해 추출한 신축 방향·변형량은 98% 정확도를 보였다.

기존에는 다양한 감각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개별센서가 필요해 신호 해석 시간에 따른 지연 현상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센서에 사용된 소재들은 인체에 해가 없어 피부부착, 인체 각 부위 동작 감지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센서를 피부에 부착할 경우 오십견 등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의 평소 움직임 정보를 추출해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고, 재활 중인 운동선수나 경기를 앞둔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움직임 정보 등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TRI 플렉시블전자소자연구실 김성현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센서는 간단한 구조로 피부의 복잡한 변형 양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며 “재활치료와 건강관리, 로봇, 의족·의수, 웨어러블 기기 등 전자피부가 필요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대 박성규 교수팀과 함께 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지난 5일 온라인 게재됐다.

(273)

뉴스레터 구독신청
태그(Tag)

전체 댓글 (0)

과학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