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10시부터 11시 사이에 취침하는 것이 그보다 일찍 혹은 늦게 자는 것보다 심장병 발병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가 나왔다.
영국 엑시터대 연구팀은 유럽심장학회(ESC) 기관지 ‘유럽 심장 저널- 디지털 건강’(European Heart Journal – Digital Health) 최근호에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Accelerometer-derived sleep onset tim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cidence: a UK Biobank cohort study).
논문 시니어 저자인 데이비드 플랜스(David Plans) 박사는 “우리 몸에는 24시간 주기의 생물학적 리듬을 가진 24시간 내부 시계가 있어 신체와 정신 기능 조절을 돕고 있다”고 말하고, “이번 연구에서 인과관계를 결론지을 수는 없지만, 연구 결과를 보면 이르거나 늦은 취침 시간은 신체 시계를 방해할 가능성이 높아 심혈관 건강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잠은 우리 몸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환경 자극에 대한 인식을 저하시켜 우리 몸이 휴식을 취하게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정 이후에 잠을 자면 심장병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가 나왔다. © WikiCommons / rachel CALAMUSA
8만 명 대상, 5.7년 간 추적 조사
지금까지 많은 분석들을 통해 수면 시간과 심혈관 질환 사이의 연관성은 조사했으나, 취침 시간과 심장병 사이의 관계는 제대로 조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규모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가 아닌 객관적으로 측정된 수면 시작 시간과 심장병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 대상은 영국의 대규모 생의학 데이터베이스인 UK Biobank에서 2006년과 2010년 사이에 모집한 8만 8026명으로, 평균 나이는 61세(43~79세)에 58%가 여성이었다.
수면 시작 및 기상 시간에 대한 데이터는 손목에 착용하는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사용해 일주일 동안 수집했다. 연구 참가자들은 인구통계학 및 자신의 생활양식에 관한 사항과, 건강과 신체 평가 그리고 설문지를 작성해 제출했다. 연구팀은 이어 참가자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 심혈관 질환을 진단받는지의 여부를 추적 조사했다.
이 심혈관 질환 범주에는 심장마비와 심부전, 만성 허혈성 심장병, 뇌졸중 및 일과성의 허혈성 심장 발작이 포함됐다.
밤 12시 이후 잠자는 그룹이 심장병 발병 가장 높아
평균 5.7년 동안 연구 대상자들을 추적 조사한 결과, 이들 중 3,172명(3.6%)에서 심혈관 질환이 발생했다. 발생률Incidence)은 밤 12시나 그 이후에 잠을 자는 사람들이 가장 높았고, 밤 10시부터 10시 59분 사이에 수면이 시작된 사람들에게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나이와 성별, 수면 지속 시간, 수면 불규칙성(다양한 수면 취침 시간과 기상 시간), 자가 보고한 일주기성(일찍 일어나는 종달새족인가, 늦게 자는 올빼미족인가), 흡연 상태, 체질량지수, 당뇨, 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및 사회경제적 상태를 조정한 뒤, 수면 시작과 심혈관 문제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밤 10~11시에 취침하는 것이 심장병 발병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인간의 생체 일주기 시계(circadian clock)를 나타낸 그림. 이 그림에서는 밤 9시부터 수면에 도움을 주는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것으로 표시돼 있다. © WikiCommons / YassineMrabet
분석 결과, 밤 10시부터 10시 59분 사이에 수면이 시작되는 사람에 비해 자정 또는 그 이후에 수면이 시작되는 사람들은 심혈관 질환 위험이 25%, 11시부터 11시 59분 사이에 자는 사람들은 12%, 그리고 밤 10시 이전에 잠이 드는 사람들은 24% 더 높았다.
성별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는 수면 시작 시간과 심혈관 질환 위험과의 연관성은 여성에서 더 높았고, 남성은 밤 10시 이전에 잠이 시작되는 경우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최적의 취침 시간 벗어나면 건강에 해로워”
플랜스 박사는 “우리 연구에 따르면 최적의 취침 시간은 신체 24시간 주기 중 특정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거기서 벗어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고 말하고, “가장 위험한 시간은 자정 이후로, 생체 시계를 재설정하는 아침 햇빛을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여성의 취침 시간과 심혈관 질환 사이에 더 강한 연관성이 관찰된 이유는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플랜스 박사는 “내분비계가 생체 일주기 리듬 붕괴에 반응하는 방식에 성차가 있을 수 있다”며, “그 외에 여성은 폐경 후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연령이 많은 여성 참가자들이 교란 요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는데, 이는 여성과 남성 간 연관성 강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플랜스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가 인과 관계(causality)를 보여주지는 않지만, 취침 시간은 심혈관질환에서 다른 위험 요인 및 수면 특성과 독립된, 잠재적인 위험 요인으로 떠올랐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른 연구에서 이번 발견이 재확인되면 취침 시간과 기본적인 수면 위생이 심장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저비용의 공중 보건 목표가 될 수 있다”고 기대를 밝혔다.
(218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