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한 달간 무료 운행 뒤 유료 전환…요금은 3천원 이내
3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자율주행차가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첫 운행에 나선다.
서울시는 30일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인 상암동에서 승용차형 자율주행차 3대가 운행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시는 “시민들이 자유롭게 탈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율차 운행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대를 여는 첫걸음을 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율차 3대는 DMC역과 인근 아파트 단지, 사무 지역을 오가며 승객들을 실어 나른다.
승객은 자율주행차용 앱 ‘탭'(TAP!)으로 차량을 호출한 뒤 지정된 정류장에서 대기하면 된다. 단, 12월 4일까지는 업계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사전예약제로 운영된다. 12월 6일부터는 일반 시민도 예약이 가능하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12월 말까지 자율주행버스 1대 등 총 3개의 자율주행차가 추가로 운행에 나서 운행 차량은 6대로 늘어난다. 2026년까지 상암 일대에서만 50대 이상의 자율차를 운행한다는 게 서울시의 목표다.
시는 많은 시민이 자율주행차를 경험할 수 있도록 약 한 달간 무료 운행을 한 뒤 내년 1월 중 요금을 내고 타는 유상 운송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용 요금은 관련 조례에 따라 ‘서울시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쳐 버스는 1천200원, 승용형 자율차는 3천원 이하로 제시했다. 실제 요금은 업체별로 이보다 낮게 책정될 것이라고 시는 전했다.
자율차 운행을 기념해 29일 낮 12시 30분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 광장에서는 ‘자율차 유상운송 선포식’이 열렸다.
오세훈 시장은 1호 승객으로 자율차에 탑승해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국악방송 앞까지 약 2.9㎞를 이동했다.
오 시장은 탑승에 앞서 자율차 유상운송을 최초로 시작하는 2개 업체(42dot, SWM)에 영업면허(자율차 유상운송 한정운수면허)를 수여했다.
선포식 후에는 서울시와 현대자동차가 공동 개최하는 ‘2021 자율주행 챌린지(대학생 자율주행차 경진대회)’가 펼쳐졌다.
자율주행 챌린지는 현대차그룹이 국내 대학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2010년부터 진행한 ‘대학생 자율주행차 경진대회’의 새로운 명칭이다.
올해 참가팀들은 현대차그룹이 제공한 니로EV를 이용해 최초로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차를 제작해 대회에 참가했다.
이번 대회는 폐쇄된 트랙에서 가상의 장애물을 놓고 1대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운행했던 기존 방식과 달리 자율주행 C-ITS(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인프라가 갖춰진 상암 시범운행지구에서 여러 대가 동시에 주행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예선을 통과한 계명대, 성균관대, 인천대, 인하대, 충북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6개 팀은 차량 회피·추월, 교차로 통과 등 도심 교통법규를 준수하며 정해진 코스를 돌았다.
KAIST(카이스트)팀이 11분 27초로 우승의 영예를 안았고 이어 충북대(13분 31초)와 인천대(14분 19초)가 각각 2등과 3등을 차지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대회는 국내 최초로 전기차에 기반해 실제 도심 교통환경에서 여러 대의 자율주행차가 동시에 주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지방자치단체와 유기적으로 협력해 자율주행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내년 초에는 청계천에 도심형 자율주행버스를 운행하고, 강남에서도 민간기업과 협력해 로보택시 등 자율차 운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8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
비타민K는 몸 안에 축적되는 지용성 비타민 가운데 하나다. 비타민K는 식물에서 주로 합성되는 K1(필로퀴논)과 장(腸) 박테리아가 만드는 K2(메나퀴논) 두 종류가 있다. 비타민K는 혈액의 응고와 뼈의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비타민K가 부족하면 지혈 장애나 뼈 손실이 올 수 있고, 너무 많으면 혈전 위험이 커진다.
국제천문연맹(IAU, 이하 '연맹')은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짓는 국제공모전을 8일 연다고 밝혔다. 연맹은 이날 오전 연맹 총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제공모전 'NameExoWorlds 2022'(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을 소개했다. 연맹은 이 공모전을 통해 태양계 밖에 있는 항성(별)과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으로 구성된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정할 예정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손상된 신체 조직을 치유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생물학적 반응이다. 한마디로 염증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 유발 물질의 분비를 일컫는 말이다. 만성 염증은 심장 판막과 뇌세포를 손상하면 심장병과 뇌졸중이 나타난다. 또 인슐린 저항을 촉진해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암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 비타민D의 결핍이 만성 염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170여년 사이 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된 500여 건의 이상기후 현상을 분석해보니 전체의 71%가량에서 인간이 영향을 미친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영국의 기후 정보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Carbon Brief)가 수집한 1850년부터 올해 5월 사이의 이상기후 현상 504건에 대한 연구 보고서 4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전했다.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발생 확률이 높아지거나 기후변동의 폭이 커진 사례가 전체의 3분의 2에 육박했다는 것이다.
5일(한국시간) 미국에서 발사된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는 우주인터넷 실험과 달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한 관측 등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은 다누리가 달 상공 100km 궤도에 올해 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부터 이뤄질 예정이며, 기간은 내년(2023년) 초부터 말까지 1년간으로 계획돼 있다. 다만 남은 연료의 양에 따라 단축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