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ST 발사부터 현재까지] (5) 슈테팡의 오중주(Stephan’s Quintet)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는 한국 시각으로 7월 12일 오후 11시 30분(미국 동부 표준시로 7월 12일 오전 10시 30분)에 NASA TV에서 실시간으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분광 스펙트럼은 총 5가지로, SCAMS 0723 은하단, 뜨거운 가스 외계 행성 WASP-96b(분광 스펙트럼), 남반구 고리 성운으로 알려진 NGC 3132 성운, 슈테팡의 오중주(Stephan’s Quintet), 그리고 용골 성운의 NGC 3324 가장자리 ‘우주 절벽’ 등이 있다. (관련 기사 보기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첫 관측결과를 공개하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 해석 시리즈에서는 고해상도 이미지를 하나씩 파헤치며, 사진들이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와 천체들에 대한 제임스 웹의 앞으로 계획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제임스 웹의 다섯 번째 이미지는 슈테팡의 오중주(Stephan’s Quintet)라고 불리우는 5개의 은하가 모여있는 은하군으로, 이를 통해서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은하의 진화과정에 관한 힌트를 파악할 수 있어서 큰 화제가 되었다.
→ 1편에서 계속되는 기사입니다. (관련 기사 보기 – ‘은하의 진화는 어떻게 진행될까 1편’)
우주에서 가장 밝은 단일 천체 중 하나이며, 매우 활동적인 초대질량 블랙홀인 퀘이사(Quasar)는 먼 거리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이들은 비교적 초창기 우주에서 탄생했음을 알 수 있다. 멀리 떨어진 천체일수록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보다 오래된 모습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초로 발견된 퀘이사 3C 273 © ESA/Hubble
최근의 우주로 올수록 더 자세한 관측이 가능함에도 이러한 퀘이사는 오히려 낮은 빈도로 관측되며, 보다 최근의 우주에서는 퀘이사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를 통해서 우주 초기의 퀘이사들은 팽창하는 우주 환경의 변화로 더 이상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점을 예측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우주와 과거 우주 밀도의 차이가 매우 다름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슈테팡의 5중주 은하군처럼 빽빽한 은하군은 퀘이사가 존재하던 초기 우주에서 더 흔하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지고 있다. 특히, NGC 7319 은하에는 400억 개의 태양에 해당하는 빛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는 태양 질량의 2,400만 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RI기기를 구성하고 있는 분광기인 MRS(Medium-Resolution Spectrometer, 중해상도 분광계)는 NGC 7319 은하의 활성 은하핵을 자세히 관측하였다. 위 분광계는 카메라와 분광기로 이루어져 있는 통합 필드 장치 (IFU: integral field units)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데이터 큐브(Data Cube)”라고 불리는 은하핵의 스펙트럼 특징 이미지를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이는 마치 자기공명영상(MRI)과 마찬가지로 한가지 정보를 많은 이미지로 자르고 분해 (“slice and dice”) 할 수 있는 촬영이다. 천문학자들은 이를 통해서 공간 구조를 파악하고 해당 구조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참고로 위 속도는 특정 방출선의 파장 이동에 의해서 측정된다.
블랙홀 주변 가스가 드러나다. © JWST/NASA, ESA, CSA, STScI
MRS는 이전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파장으로 초대질량 블랙홀의 활성 은하핵 부근에서 강력한 바람과 블랙홀에 의해 이온화된 가스를 포착했다. 위 사진의 하단 부분에서 파란색 부분은 우리를 향해 다가오는 이온화된 가스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주황색 부분은 관찰자로부터 멀어지는 이온화된 가스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아르곤과 네온은 초거대 질량 블랙홀의 강력한 복사와 바람에 의해서 고도로 이온화되며 과열된 가스들이 뭉쳐있는 곳에서 발견되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분자 수소선을 통한 관측을 통해서 이들은 은하의 중심부 더 차갑고 밀도가 높은 가스들이 많은 곳에서 관측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고해상도 이미지 보러 가기)
아래 사진은 NIRSpec(근적외선 분광기)으로 촬영한 NGC 7319 은하의 활성 은하핵 모습이다. 역시 카메라와 분광기의 조합 기기인 통합 필드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큐브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활성 블랙홀 근처의 뜨거운 가스 구성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밝고 활동적인 핵 자체는 주변 가스의 구조를 더 잘 보여주기 위해 이 이미지에서 제거되었다.
활동적인 블랙홀의 가스 구성도 © JWST/NASA, ESA, CSA, STScI
위 사진에서는 NIRSpec에서 볼 수 있는 주요 방출선 중 일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다양한 가스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수소 원자는 파란색과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분출(outflow)의 구조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청록색의 철 이온 관측을 통해서 뜨거운 가스가 있는 곳을 추적할 수 있으며 빨간색으로 표시된 차갑고 밀도가 높은 수소 분자 관측을 통해서 분출 가스와 블랙홀의 연료 저장소 부근을 추적할 수 있다. (고해상도 이미지 보러 가기)
활동적인 블랙홀의 가스 구성도 © JWST/NASA, ESA, CSA, STScI
NGC 7319 은하의 초거대 질량 블랙홀 근처 가스 구성성분을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는 위 사진 역시 MRS를 통한 관측이다. 위 관측을 통하여 블랙홀 주변이 해변 모래와 비슷하지만, 훨씬 작은 입자인 규산염 먼지로 둘러싸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블랙홀 상단(오른쪽 위 도표)은 철, 아르곤, 네온, 황 및 산소를 포함한 뜨겁고 이온화된 가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온화 정도가 다른 동일한 원소의 여러 방출선을 연구하면 분출의 특성과 기원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반면, 아래 스펙트럼(오른쪽 아래 도표)을 통해서 초거대 질량 블랙홀에 은하의 중심 영역에서 나오는 빛을 흡수하는 차갑고 밀도가 높은 분자 수소와 규산염이 풍부함을 알 수 있다. (고해상도 이미지 보러 가기)
딥 필드 관련 : 제임스 웹의 딥 필드는 너무나도 아름다웠다 – 1편
딥 필드 관련 : 제임스 웹의 딥 필드는 너무나도 아름다웠다 – 2편
외계행성 관련 : 뜨거운 가스 행성의 대기에서 물을 발견하다
별의 죽음 관련 : 죽어가는 별 주위를 자세히 관찰하다 – 1편
별의 죽음 관련 : 죽어가는 별 주위를 자세히 관찰하다 – 2편
별의 탄생 관련 : 용골자리 성운의 “우주 절벽”이 상세히 드러나다
은하계 관련 : 은하의 진화는 어떻게 진행될까 – 1편
은하계 관련 : 은하의 진화는 어떻게 진행될까 – 2편
(96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이래 3개월여만에 ‘블루 아카이브’를 비롯한 한국산 게임에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2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게임을 포함한 27종의 외국산 게임 수입을 허가했다고 공지했다. 중국은 심의를 거친 자국 게임사 게임에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사 게임에는 ‘외자판호’를 발급해 서비스를
/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마침내 한국에 상륙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현대카드는 21일 오전부터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폰과 현대카드를 보유한 이용자는 호환 단말기를 보유한 매장에서 카드 실물 없이 휴대전화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당초 양사는 이달 초를 서비스 개시 목표일로 삼았으나 호환 단말기 보급 이슈
/ 피해 규모만 매년 수천억 원대에 달하는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에는 불법 콜 중계기(심박스) 등 다양한 장비가 이용된다. ‘심박스’는 인터넷 전화(VoIP)를 이동통신 전화(VoLTE·3G) 전화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데, 해외 보이스피싱 범죄자가 국내 피해자에게 전화할 때 단말기에 ‘070’ 번호가 아닌 ‘010’ 번호가 뜨도록 하는 장비다. 심박스를 탐지하기 위해 현재까지 발신자·통화 시간·통화 위치·음질 등 통화 정보를
/ 경북도가 로봇 기업, 연구기관 등과 손잡고 인공지능(AI) 서비스로봇 제조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도는 21일 도청 회의실에서 구미시, 자율주행 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 로봇 제조 업체 인탑스, KT, 경북테크노파크, 경북도경제진흥원, 한국로봇융합연구원과 업무협약을 했다. 기업과 연구소 등은 앞으로 AI 서비스로봇 산업육성, AI 서비스로봇 부품 국산화 및 기술개발 생태계 조성, 연구개발 및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미국 국토안보부 과학기술본부와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 인력의 교류 촉진과 공동 연구를 위한 협력공동의향서(JSOI)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과 디미트리 커스네조브 미국 국토안보부 과학기술본부 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중앙우체국에서 한미 동맹 70주년을 기념해 면담을 갖고 양국 간 공동 연구와 인력 교류를 내용으로 하는 공동의향서에 서명했다. 양국은 디지털 전환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춘천센터 김길남 박사 연구팀이 강원 양구군·국립수목원과 공동으로 개느삼 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쥐의 대식세포에 염증 반응을 유도한 뒤 대표적 염증유발물질인 산화질소의 생성 저해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개느삼 뿌리 추출물을 처리한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 발현이 47.5% 감소했다. 염증 유발 단백질인 산화질소 합성 효소(iNOS)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 국내 우주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엔진 검증용 시험 발사체 ‘한빛-TLV’가 현지시간 19일 오후 2시 52분(한국시간 20일 오전 2시 52분) 브라질 공군 산하 알칸타라 우주센터(CLA)에서 발사됐다고 밝혔다. 브라질 공군은 “한빛-TLV가 브라질 탑재체를 싣고 4분 33초 동안 비행했다”며 이번 발사 임무가 ‘양국 협력에 따른 성공’이라 될 것 같다고 표현했다. 이노스페이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