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은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지력이 떨어진 노인들이 신체운동을 하면 알츠하이머병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도 나와 있다.
최근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aerobic exercise training)이 중년들뿐만 아니라 젊은 성인들의 인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컬럼비아대의대 연구팀이 20~67세 사이의 성인 13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운동 효과는 나이가 많을수록 더 높았으나 20세 젊은이에게서도 추론과 기획, 문제 해결에 중요한 인지 제어과정인 집행 기능(executive function)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의학저널 ‘신경학’(Neurology) 3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유산소 운동이 한층 젊은 성인들에게서도 인지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이번 연구는 운동이 적어도 어느 정도의 노화 관련 인지 변화를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전 연구들보다 정확한 연구방법 채택
이전에 수행된 운동과 인지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노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젊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수가 적었을 뿐 아니라 무작위 대조군도 포함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신경학부 인지신경과학 주임교수인 야콥 스턴(Yaakov Stern) 박사와 행동의학 주임교수인 리처드 슬론(Richard Sloan) 박사는 중간 이하의 산소 흡입력을 가진 132명을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과 대조군인 스트레칭 프로그램 및 코어 근력 강화운동에 할당했다.
모든 참가자들은 지역의 YMCA회관에서 일주일에 4회씩 운동을 했다. 운동 참가자들은 목표 심장박동 수에 도달할 수 있는 운동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참가자들이 착용한 심박측정기 자료는 현장의 컴퓨터에 입력됐다.
참가자들은 12주와 24주짜리 운동 그룹에 배치되기에 앞서 인지 집행 기능과 처리 속도, 언어 능력, 주의력, 일화 기억력 테스트를 받았다.
유산소운동 24주 뒤의 뇌 영상에서는 왼쪽 꼬리 중간 전두엽 피질에서 피질 두께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은 배측면 전두엽과 안와 전두엽이 있는 앞 전두엽 피질 모습. Credit: Wikipedia Commons / Natalie M. Zahr, Ph.D., and Edith V. Sullivan, Ph.D.
운동이 뇌의 집행기능 향상시켜
24주 뒤 확인한 결과 유산소 운동을 한 모든 연령대의 참가자들은 집행 기능이 현저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나이가 많을수록 집행 기능이 더 증진됐다.
스턴 교수는 “집행 기능은 통상 30세 무렵에 최고조에 이른다”고 말하고, “유산소 운동은 기능 저하 없이 수행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잃어버린 기능을 되살리는데 좋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집행 기능은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기초가 된다. 예를 들면 청구서를 받고 돈을 지불하는 일만 해도 청구된 액수를 현금으로 줄 것인지 카드로 결제할 것인지 계획하고 조직해서 하나의 관련 업무로부터 다른 업무로 이전해야 한다.
이런 활동들은 온전한 집행 기능이 발휘돼야 가능하다. 만약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도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계획하고 조직해서 완료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집행기능장애(executive function disorder)’가 있는지 의심해 봐야 한다. 이런 장애가 있으면 일상생활의 일들을 처리하는 게 힘들고 애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유산소 운동이 어느 연령대의 참가자에서든 속도와 언어, 주의력, 일화 기억 처리에서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연구에서는 유산소 운동이 55세 이상의 성인들에게서 이런 특성들을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스턴 교수는 좀더 규모가 큰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들에게서 인지력 향상을 찾아낼 수 있을지 모른다고 말했다.
또 운동은 젊은 성인과 노년층에서 다른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유산소 운동, 뇌의 회백질 증가시켜
유산소 운동을 하기 전과 운동 24주 뒤의 뇌 영상은 달라진 양상을 보인다. 유산소 운동 뒤의 뇌 영상에서는 왼쪽 꼬리 중간 전두엽 피질에서 피질 두께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백질 증가는 참가자 나이와는 관련이 없었다. 또 어떤 인지 영역에서의 상응하는 변화와도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년층에 대한 다른 여러 유산소 운동 연구들은 전두엽에 상당한 변화가 있음을 지적했다. 이것은 유산소 운동이 집행 기능과 관련된 뇌 영역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916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 소모량과 맞먹고,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학습 서버 한 대의 전력소모량이 알파고의 10배를 넘는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초저전력·고성능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인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소자) 기술 혁명이 필요한 이유다.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드론은 저렴한 가격과 기동성으로 소방·정찰·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운용 주체·의도를 숨길 수 있어 군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 테러리스트들도 쓰는 도구가 되고 있다.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국가 중요 시설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안티드론 기술 평가장이 되고 있다.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인 침팬지도 10대 때는 사춘기 청소년처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보이지만 인내심은 오히려 10대 청소년보다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 미시간대 알렉산드라 로사티 교수팀이 콩고공화국 보호구역에서 태어난 야생 침팬지 40마리를 대상으로 충동성과 위험 감수 경향, 인내심 등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경고가 뜨고 가스 밸브가 자동으로 잠긴다면 훨씬 안전할 수 있다. 기상청은 '지능형 사물인터넷'(사물지능융합기술·AIoT) 기술을 활용한 지진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차세대 지진재난문자 서비스 연동방안 연구'를 올해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