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통을 호소하는 경우 대개 위염, 위장관염, 설사를 떠올리고는 한다. 해당 복통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과 약은 무엇이 있을까.
ⓒ게티이미지뱅크
위염은 자극이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위벽의 염증을 말한다. 주로 가족적 성향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주요 원인으로는 과도한 음주와 흡연, 아스피린 복용을 꼽는다.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50세 이상 인구의 절반 이상이 앓고 있다고 한다. 급성 위염은 과도한 음주나 아스피린 복용, 이부프로펜과 같은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때문에 위 내벽이 손상을 입었을 때 발생한다. 만성 위염은 소화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크론병이 있는 경우, 장시간에 걸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의 복용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의 증상을 완화할 방법은 위 속의 산을 중화해주는 제산제를 복용하는 것이다. 제산제는 위산으로 인한 속쓰림과 위통 등의 급성 증상에 사용되는 위장약이다. 제산제는 단일제와 복합제로 나뉜다. 단일제는 알루미늄류, 마그네슘류, 알루미늄+마그네슘류로 나뉜다. 각각 복용 약으로는 순서대로 암포젤, 마그밀, 알마겔이 있다. 복합제에는 제산제+가스제거제, 제산제+점막보호제, 제산제+위산분비 억제제, 제산제+소화효소제+진경제가 있다. 이도 순서대로 겔포스엠, 개비스콘더블액션, 잔트락틴, 노루모에프와 카베진코와에서가 있다.
제품과 증상에 따라 복용 횟수에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제산제가 필요할 시 하루 3~4회 식간 또는 취침 전에 복용한다. 주의사항으로는 알루미늄 제제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혈중 인산염 함량 감소 및 뼈에 무기질이 침착되지 않는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마그네슘 제제와 칼슘 제제는 다량의 우유나 일반 칼슘 제제와 함께 복용 시 우유 알칼리 증후군(고칼슘혈증, 고질 소혈증, 알칼리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위장관염은 일반적으로 감염에 의한 위와 장의 내막에 생긴 염증을 칭한다. 급성 감염성 위장관염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주원인은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한 감염이다. 주로 아이에게서는 로타바이러스나 아스트로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고, 청소년과 성인에게서는 노르웍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난다.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세균성 위장관염의 원인은 살모넬라와 대장균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다. 보통 구토, 설사, 발열과 함께 시작되는 질병으로, 성인에게는 위중한 타격이 없지만, 어린아이의 경우 탈수의 위험이 있어 치명적일 수 있다.
이의 증상을 완화할 방법은 지사제를 복용하는 것이다. 허나 증상을 빨리 완화하기 위해 처방 없이 지사제를 복용하는 것은 감염균을 위장관 속에 오래 머물게 해서 염증을 지연시킬 수 있어 되도록 피해야 한다. 가장 좋은 것은 충분한 양의 음료를 마시는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설사는 정상보다 대변을 묽게 보거나 배변 빈도가 늘어나는 현상이다. 설사 자체가 질병은 아니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질환을 얘기할 수 있다. 때때로 설사는 복통, 팽만감, 식욕감퇴, 구역질을 동반하기도 한다. 정상적으로 장은 수분을 흡수하고 분비하는 기능을 통해 수분, 전해질, 영양분의 흡수를 조절한다.
그러나 감염원, 독소 물질 등과 같은 것이 장내에 존재하면 유해 인자를 몸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장 내에 수분의 분비를 증가하거나 장의 운동을 항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장 손상에 대한 보호 반응으로 설사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설사의 주원인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한 세균, 비아러스, 기생충에 의해서다. 또한, 다양한 약들도 설사를 유발한다. 이로는 항생제, 심장부정맥 치료제, 혈압약, 항염증제, 일부 항우울제, 항암치료 약물 등이 있다.
이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공급 조절이 필요하다. 만약 증상이 심할 시에는 지사제를 복용하기도 한다. 지사제의 종류는 장운동 억제제, 살균제, 수렴제, 흡착제, 정장제가 있다.
순서대로 대표 제품으로는 로프민캡슐(로페라미드), 리다민캡슐(리다미딘) / 에세푸릴캡슐(니푸록사지드), 정로환(크레오소트), 로프민플러스캡슐(아크리놀, 베르베린) / 헬리방정(비스무트) 및 후리베린큐엑스정(비스무트) / 후라베린큐시럽(카올린), 스멕타현탁액(디옥타헤드랄 스멕타이트) / 람노스캡슐(람노스캡슐)이 있다.
(370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42)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